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포토] 식목일, 환경피해자 ‘추모의 숲’ 나무심기

등록 2021-04-05 18:38수정 2021-04-05 19:31

환경보건시민센터, 2016년부터 가습기살균제 희생자 등 추모의 나무심기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내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석면·라돈침대) ‘추모의 숲’에서 열린 나무심기 행사에서 고 김종원 선생의 미망인이 영정사진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내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석면·라돈침대) ‘추모의 숲’에서 열린 나무심기 행사에서 고 김종원 선생의 미망인이 영정사진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가습기살균제, 석면, 라돈침대로 희생된 피해자와 유족들이 식목일인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 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추모의 숲’에서 나무심기 행사를 열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016년 4월5일 첫 환경피해자 나무심기를 시작했다. 이후 석면피해자를 위한 추모의숲 조성과 함께 매년 서너차례 피해자들과 함께 나무를 심고 희생자를 추모해왔다.

가습기 살균제, 석면, 라돈침대로 희생된 환경피해자 ‘추모의 숲’ 나무심기 행사가 식목일은 5일 오후 서울 상암동 노을공원에서 열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유족들이 희생자를 기리는 나무를 심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가습기 살균제, 석면, 라돈침대로 희생된 환경피해자 ‘추모의 숲’ 나무심기 행사가 식목일은 5일 오후 서울 상암동 노을공원에서 열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유족들이 희생자를 기리는 나무를 심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유가족인 조병렬씨가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 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추모의 숲’에서 나무를 심고 이름표를 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유가족인 조병렬씨가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 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추모의 숲’에서 나무를 심고 이름표를 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내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석면·라돈침대) ‘추모의 숲’에서 열린 나무심기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나무를 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내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석면·라돈침대) ‘추모의 숲’에서 열린 나무심기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나무를 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가습기살균제, 석면, 라돈침대로 희생된 피해자와 유족들이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 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추모의 숲’에서 나무를 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가습기살균제, 석면, 라돈침대로 희생된 피해자와 유족들이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을공원 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추모의 숲’에서 나무를 심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내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석면·라돈침대) ‘추모의 숲’에서 열린 나무심기 행사에서 김태종씨가 가습기살균제의 피해자인 부인의 영정사진 앞에서 심은 나무에 물을 주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노을공원 내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석면·라돈침대) ‘추모의 숲’에서 열린 나무심기 행사에서 김태종씨가 가습기살균제의 피해자인 부인의 영정사진 앞에서 심은 나무에 물을 주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TV 수신료 통합징수법’ 국회 소위 통과에…KBS 직능단체 “환영” 1.

‘TV 수신료 통합징수법’ 국회 소위 통과에…KBS 직능단체 “환영”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2.

한동훈 ‘도로교통법 위반’ 신고…“불법정차 뒤 국힘 점퍼 입어”

롯데호텔에서 밤에 페인트칠 하던 노동자 추락 사망 3.

롯데호텔에서 밤에 페인트칠 하던 노동자 추락 사망

음주 측정 거부·이탈 뒤 2주만에 또…만취운전 검사 해임 4.

음주 측정 거부·이탈 뒤 2주만에 또…만취운전 검사 해임

[단독] 기록 없는 이주노동자 죽음 93.6%…“체계적 통계 전혀 없다” 5.

[단독] 기록 없는 이주노동자 죽음 93.6%…“체계적 통계 전혀 없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