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요각류 '김치'. 길이 0.4밀리의 소형 해저 동물플랑크톤이다. 그림=주 택사
김치 좋아하는 호주인 교수가 지어, 남해 매물도 해저서 채집한 요각류
마고, 청미천, 가거도 이름 딴 신종도 등록…국립생물자원관 무척추동물 조사 결과 새로운 생물종을 발견한 사람은 그 특징을 규명해 학술지에 보고하면서, 그 생물에 영원히 따라다닐 이름을 다는 영광을 얻는다. 연구 말고 다른 생각을 하는데 시간을 쓰는 게 낭비라고 생각하는 과학자라면 그 생물의 형태나 색깔의 특징이나 사는 장소를 학명으로 삼는다. 하지만 신종을 알리는 이런 드문 기회를 자기가 존경하거나 좋아하는 사람 또는 사물의 이름을 붙이는 이들도 적지 않다.
리처드 도킨스 같은 생물학 거장이나 비욘세나 밥 말리 같은 예술가, 또는 조지 부시 같은 정치인의 이름도 오른다(아래 상자 기사 참조). 이제 ‘김치’라는 학명을 지닌 생물이 국제학회에 등록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2일 지난해 무척추동물에 대한 자생생물 조사사업에서 세계에서 처음 발견된 26종의 신종과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33종의 미기록종을 찾아내 국제학술지 <주 택사> 특별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신종으로 등록된 요각류 가운데 한 종에는 ‘아메이라 김치’란 학명이 붙었다. 요각류는 노처럼 생긴 발을 지녀 ‘노벌레’라고도 불리는 동물플랑크톤으로 바다생태계에서 기초 먹이로 중요하다.
신종 요각류의 이름은 조주래 국립생물자원관 박사와 함께 논문을 작성한 토미슬라브 카라노비치 한양대 생명과학과 연구교수 겸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해양 및 남극연구소 연구원의 뜻에 따랐다.
그는 “한국에 살기 전부터 좋아하던 한국의 전통음식에서 이름을 따 이 생물의 이름으로 정했다”며 “김치는 전통 한국의 상징이라고 생각한다”고 논문에서 밝혔다. 경남 통영에 있는 매물도의 수심 33m 해저에서 발견된 길이 0.4㎜의 이 신종 요각류는 우리나라에만 분포한다.
매물도에서 역시 발견된 또 다른 요각류에는 ‘슈다메이라 마고’라는 이름이 붙었다. 여기서 ‘마고’는 우리나라의 전설과 무속신앙에서 나오는 마고할미를 가리킨다. 논문은 “한국에서 오늘날 토테미즘과 샤머니즘은 종교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지만 자연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표시하는 데는 아직도 자주 쓰인다”고 명명 배경을 밝혔다.
또 남한강 지류인 청미천에서는 종보다 한 단계 위 분류 갈래인 새로운 속의 ‘옛 새우’가 발견돼 ‘아리수바티넬라 청미엔시스’란 이름을 얻었다. 속명에는 한강의 옛 이름인 ‘아리수’가, 종명에는 발견장소인 ‘청미’가 들어갔다. 이 생물은 길이 1㎜의 소형 갑각류이다.
이밖에 가거도에서 발견된 신종 지렁이에는 ‘아민타스 가거도’란 이름이 붙었다. 길이가 15~17㎝인 이 지렁이는 낙엽 속에 사는데 위험을 느끼면 뱀처럼 구불구불 재빨리 달아나며 겨울엔 휴면을 하기도 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반도 고유 생물종의 발굴과 보전 및 관리의 필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고 이번 조사의 배경을 밝혔다.
우리나라에는 모두 3만 6921종의 생물이 보고돼 있으며 이 가운데 곤충을 뺀 무척추동물은 5773종으로 예상된 것보다 훨씬 적게 밝혀져 있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Three new ameirid harpacticoids from Korea and first record of Proameira simplex (Crustacea: Copepoda: Ameiridae)
TOMISLAV KARANOVIC & JOO-LAE CHO
Zootaxa 3368: 91.127 (2012)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관련기사: 비욘세 파리를 아십니까
■ 조홍섭 기자의 <물바람숲> 바로가기
<한겨레 인기기사>
■ 최필립 “물러날 뜻 없다” 완강…‘박근혜 해법’ 원점으로
■ 박근혜 “정수장학회 강압 없었다”→“인정 안했다” 실언 연발
■ 포스코 ‘동반성장 우수’ 받으려 서류조작?
■ 청와대, 이시형씨가 낼 땅값 줄이려 집주인에 “공유필지 값 낮춰라” 요구
■ ‘민간사찰’ 총리실 지원관실 요구로 4대강 인터뷰 연구위원 징계받았다
■ 야근은 밥먹듯, 월급은 띄엄띄엄…“욕만 나와” “너도 그래?”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 깔끔해서 그럴까?
마고, 청미천, 가거도 이름 딴 신종도 등록…국립생물자원관 무척추동물 조사 결과 새로운 생물종을 발견한 사람은 그 특징을 규명해 학술지에 보고하면서, 그 생물에 영원히 따라다닐 이름을 다는 영광을 얻는다. 연구 말고 다른 생각을 하는데 시간을 쓰는 게 낭비라고 생각하는 과학자라면 그 생물의 형태나 색깔의 특징이나 사는 장소를 학명으로 삼는다. 하지만 신종을 알리는 이런 드문 기회를 자기가 존경하거나 좋아하는 사람 또는 사물의 이름을 붙이는 이들도 적지 않다.
스리랑카 과학자가 발견한 도킨스 속의 물고기
신종 요각류 김치의 부위별 세부 형태. 그림=주 택사
마고할미를 가리키는 마고라는 이름을 얻은 매물도의 요각류 세부 모습. 그림=주 택사
경기도 여주군 청미천 강변에서 발견된 새로운 속의 소형 갑각류. 그림=주 택사
| |
■ 최필립 “물러날 뜻 없다” 완강…‘박근혜 해법’ 원점으로
■ 박근혜 “정수장학회 강압 없었다”→“인정 안했다” 실언 연발
■ 포스코 ‘동반성장 우수’ 받으려 서류조작?
■ 청와대, 이시형씨가 낼 땅값 줄이려 집주인에 “공유필지 값 낮춰라” 요구
■ ‘민간사찰’ 총리실 지원관실 요구로 4대강 인터뷰 연구위원 징계받았다
■ 야근은 밥먹듯, 월급은 띄엄띄엄…“욕만 나와” “너도 그래?”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 깔끔해서 그럴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