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보도 뒤 다시 만난 탈시설 장애인 하상윤
3개의 액자 속에 신문기사 담아 집에 보관
“‘자립, 나를 결정할 권리’라는 제목이 좋았어요
자기결정권, 지금까지 그걸 말하고 싶었거든요”
‘장애인 향한 시선’ 겁나 댓글 안봤지만
뒤늦게 확인 뒤 미소 “더 많은 사람들 알고 싶어”
3개의 액자 속에 신문기사 담아 집에 보관
“‘자립, 나를 결정할 권리’라는 제목이 좋았어요
자기결정권, 지금까지 그걸 말하고 싶었거든요”
‘장애인 향한 시선’ 겁나 댓글 안봤지만
뒤늦게 확인 뒤 미소 “더 많은 사람들 알고 싶어”
하상윤이 자신의 기사가 담긴 액자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액자에 담긴 기사…“불쌍한 장애인 아닌 나의 일상이 나와서 좋았어요” 47일 만에 다시 만난 하상윤의 집에는 눈에 띄는 변화가 하나 있었다. 집에 액자 3개가 생겼다. 액자에는 하상윤의 이야기가 소개된 <한겨레> 신문이 각 면 별로 담겨 있었다. 1면에서 자신의 사진이 나온 부분만 오려 액자 중앙에 담았다. “아직 벽에 걸지는 못했어요. 떨어질까봐요” 하상윤은 액자를 들고 환하게 웃었다. 그는 취재 이후 거의 매일 연락을 해왔다. 신문을 어디서 살 수 있느냐고도 물었다. “신문 나오잖아요? 신문크기를 알고 싶어요. 액자에 사서 끼우려고 하는데, 그럼 액자 크기를 정해야 하니까” 하상윤은 웃었다. “축하 메시지도 많이 받았어요. 기사 잘 봤다고요” 사실 그가 언론에 등장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9년 6월 비리 장애인 시설인 석암베데스다요양원에서 벗어나 자립을 요구하며 농성을 시작했던 ‘마로니에 8인’ 시절 그의 농성과정은 많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상윤은 대체로 천막에서 농성을 하고, 도로를 점거하고, 시청 앞에서 서명을 받고 있었다. 그는 투쟁하는 모습이 아닌 자신의 일상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다. 불쌍한 장애인도, 투쟁하는 장애인도 아닌 그냥 하상윤의 모습 말이다. “신문 지면에 ‘자립, 나를 결정할 권리’라는 제목이 좋았어요. 권리는 내가 나이기 때문에 갖고 있는 거잖아요. 누군가의 동정 때문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려야 할 것에 대해 보여주고 싶었어요” 자신이 불쌍한 사람으로 보이지 않아 좋았다고 했다. “자기결정권, 그걸 말하고 싶었으니까요”
하상윤이 자신의 기사에 달린 댓글을 읽으며 환하게 웃고 있다.
기사에 달린 응원 댓글…“새로운 세상이 열렸어요” 상윤은 처음엔 댓글을 읽지 못했다고 했다. 두려웠다. “장애인에 대한 시선이 있잖아요. 그게 무서웠어요” 그가 과거 외출 다닐 때 겪었던 일들을 하나둘 꺼내놨다. 엘리베이터에서 마주친 노인은 상윤을 향해 “장애인이 외출을 뭣하러 나왔냐”고 타박하며 “돌아다니지 말고 집에 있으라”고 꾸짖었다. 장애인 이동권을 외치며 지하철을 멈춰세우거나 명절에 고속버스·시외버스를 막아설 때면 사람들은 “왜 교통을 방해하느냐”고 쏘아붙였다고 했다. 사실 그는 자립 뒤에도 비장애인들을 만나본 일이 거의 없다. “시설에서만 27년 살았고, 나와서 10년은 자립을 위해 장애인운동 사람들을 많이 만났어요. 그래서 비장애인들을 만나본 일이 별로 없었죠” 그와 관계를 맺었던 비장애인은 시설 직원, 장애인 운동활동가, 센터 직원, 활동지원사가 대부분이었다. ‘댓글에 응원의 말들이 많다’고 알려줬다. 상윤은 조심스레 휴대전화를 켰다. 댓글을 하나둘 읽던 그의 얼굴에서 웃음꽃이 번졌다. 화면이 내려갈수록 그의 입꼬리가 올라갔다. “새로워요. 댓글을 보니까, 비장애인들을 많이 만나고 싶어요. 더 잘 어울릴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는 서로를 알아가는 세상을 꿈꿨다. “서로서로 알아가고 싶어요. 장애인의 삶에 대해 아느냐고 물어보고 싶어요. 그리고 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는지 물어보고 싶어요. 그렇게 서로를 알아가고 싶어요”
하상윤이 새로산 포토샵·일러스트레이터 책을 꺼내들고 웃고 있다.
봄이 오면, 더 넓은 세상으로 상윤은 이번 설에 특별한 일정 없이 집에서 휴식을 취할 생각이다. 최근 체력이 많이 떨어져 병원에도 자주 간다고 했다. 만날 가족이 없는 그에게 설은 어쩌면 다른 날과 비슷한 하루하루일 뿐일지도 모른다. “가족들이 보고싶은 것도 아니니까요. 어머니는 보고 싶지만, 지금은 돌아가셨어요” 그는 휠체어를 태울만한 차량을 구할 수 있게 되면, 꼭 어머니의 산소에 찾아가볼 생각이라고 했다. 대신 그는 봄을 준비하고 있었다. “봄이 오면, 새로운 복지관에도 나갈 거예요. 이사 온 뒤에 이곳 복지관은 가보질 못했거든요. 야학도 2개를 다니려고요.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요” 상윤의 표정이 지난 번보다 밝아진 것 같았다. 상윤은 최근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를 공부하기 위해 640쪽짜리 책을 1권 샀다. 매주 2회 듣는 컴퓨터 수업도 평소보다 더 열심히 참여하고 있다. “이제 신문에도 나왔으니까, 더 열심히 해야죠. 그래서 책도 새로 샀어요” 그가 책을 들어보였다. 큰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이 유난히 따뜻했다. 어쩌면 상윤에게는 벌써 봄이 찾아온 것도 같다. 상윤은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인사를 전하고 싶다고 했다. “기사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기사가 나올텐데, 자립에 대해 관심을 가져주세요. 자립을 통해서, 장애인들도 부모나 시설의 보호가 아니라 혼자서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사실을 많은 분들이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47일 전 취재가 끝난 뒤 마지막 자기소개를 할 때처럼 그가 수줍게 말했다. 상윤은 이제 ‘자신만의 공간’을 넘어, 더 넓은 세상을 꿈꾸고 있다. 글·사진 이준희 기자 givenhapp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