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광장에 설치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가 철거를 하루 앞두고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계획 중 하나인 ‘격리의무 해제’와 관련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가 성급하다는 우려를 내놓은 가운데 방역당국이 4주 ‘이행기’ 이후 상황을 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격리기간 단축에 대해선 필요성이 높지 않다고 밝혔다.
김유미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일상방역관리팀장은 21일 질병관리청(질병청) 백브리핑에서 “여러 위험도와 유행상황, 전문가 의견, 인수위 특위에서 나오는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한 달 뒤 (격리의무 해제 등을) 판단할 계획”이라며 “(격리의무 해제 시점이) 4주 후라고 단정적으로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15일 정부는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계획’을 발표하며 오는 25일부터 4주 뒤(약 5월 말) 이행기까진 격리의무 기간 7일 유지하고 이르면 5월말 안착기부턴 격리의무를 권고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행 격리기간 7일을 다른 나라와 같이 5일로 낮춰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국내 상황은 격리기간을 단축할 필요성이 높지 않다고 일축했다. 김 팀장은 “격리 기간을 5일로 단축한 해외사례가 있지만 전파 위험도와 관련된 과학적 근거보단 필수 사회활동을 유지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상황 때문이라고 본다”며 “우리나라는 주요 분야에서 BCP(사업연속성계획)가 시행 중이고 (유행) 정점을 지나 사회 활동도 (문제없이)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실외·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관련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팀장은 “실외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는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등 유행상황과 미래 위험, 이동량 증가, 새로운 변이 출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예정”이라며 “다음 주 말께 (착용 해제 여부를)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은) 지하철과 버스 등 3밀(밀집·밀접·밀폐)이 많은 생활을 하고, 문을 닫고 에어컨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실내 마스크 해제는 시기상조라고 생각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실외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돼도 고위험군 등에겐 위험차단을 위해 마스크 착용을 상당 기간 권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