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이 아닌 ‘임신 전’ 고위험음주가 몸무게 4㎏ 이상의 거대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 질병관리청(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김원호 박사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국립보건연구원에 구축 중인 한국인 임신 코호트 중 2886명을 대상으로 임신 전 비음주군·일반음주군·고위험음주군의 거대아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고위험 음주군의 거대아 발생률은 7.5%로, 비음주군(2.9%)과 일반음주군(3.2%)에 견줘 각각 2.6배, 2.3배 높았다. 고위험음주군은 1번에 5잔, 일주일 2번 이상 음주를 한 경우로, ‘임신 전’ 기간은 임신일로부터 6개월∼1년 전으로 설정했다. 연구팀은 아기 출생 몸무게가 4000g 이상일 경우 거대아로 판단했다.
임신 전 월별 음주잔을 기준으로 거대아 발생 비율을 살펴보면, 10잔 미만은 3.2%, 10∼20잔은 3.1%로 비슷한 수준이지만, 20∼30잔 4.5%, 30잔 이상은 5.5%로 20잔 이상부터는 거대아 발생이 음주량에 비례해 증가했다.
질병청은 거대아가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합병증을 유발할 위험을 키운다고 설명했다. 또 출산 중 산모 출혈과 유아기 비만, 향후 성인기 당뇨와 고혈압, 비만, 대사증후군 등의 발생위험을 높인다. 이번 연구 결과 임신 전 고위험음주 여성에서 태어난 아기의 경우,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율이 14.2%로 비음주(13.5%), 일반음주(9.9%)보다 높았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의 “임신 중 음주의 위험성과 함께, ‘임신 전 음주’ 역시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인다는 직접적 근거를 한국인 임신 코호트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하는 것”이라며 “임신 전 음주의 여부가 거대아 출산위험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 향후 새로운 위험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