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4월 말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내리고, 대중교통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등 남은 방역 조처를 해제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르면 4월 말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내리고, 대중교통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등 남은 방역 조처를 해제할 방침이다.
3일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4월 말∼5월 초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보건긴급위원회 회의가 열린 뒤 국내 보건당국도 위기평가회의를 소집할 것이다. (이 회의에서) 국내 코로나19 위기 단계 하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2020년 1월30일 세계보건기구가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한국 정부도 그해 2월23일부터 코로나19의 감염병 위기 단계를 ‘심각’으로 유지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해제될 경우 국내 위기 단계를 ‘경계’로 하향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확진자 7일 격리와 일부 실내의 마스크 착용 의무 등 남은 방역 조처도 조정 혹은 해제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30일부터 대부분의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했지만, 대중교통·병원·약국·사회복지시설 등에서는 착용 의무가 유지되고 있다. 정부는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이달 말 방역조처별 해제 방식·시기 등을 담은 일상회복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현재 3900여개인 코로나19 병상도 1000여개로 축소하기로 했다. 이는 하루 확진자 4만명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규모다. 임숙영 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치명률이 1차 유행(2020년 2∼6월) 당시 2.1%에서 최근 7차 유행(2022년 11월∼2023년 1월)에서는 0.08%로 하락했다. 확진자 중증화율은 1차 유행 3.76%에서 최근에는 0.17%까지 하락하는 등 질병 위험도가 초기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며 “그간의 (코로나19) 대응 경험과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감염병 재난위기 상황에서 벗어나 온전한 일상회복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