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 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글로벌 신약 개발을 목표로 향후 5년간 정부와 민간에서 연구·개발에 25조원 가량이 투입될 전망이다.
24일 보건복지부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제1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심의·의결했다. 지난달 28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 후속 조처로 △연 매출 1조원 이상 신약 2종 신규 창출 △연 매출 3조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사 3개사 육성 △의약품 수출 2배(지난해 81억달러→2027년 160억달러) △제약바이오 일자리 확대(2021년 12만→2027년 15만개) △임상시험 글로벌 3위 등을 5년 내 목표로 제시했다.
또한 미국·유럽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신약 총 10종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 분야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2조2000억원 규모 ‘국가신약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민관 합동으로 5년간 25조원 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복지부는 예상했다. 이와 별도로 글로벌 임상시험 지원 등에 투자할 정부 차원의 ‘케이(K)-바이오백신 펀드’도 올해 상반기 5000억원에서 2025년 1조원까지 확대한다.
전략적인 연구·개발이 이뤄지도록 범부처 협의체에서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 같은 10대 유망 신기술을 발굴한다는 계획도 담겼다.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감염병과 치매·파킨슨 등 고령화 관련 질병, 희귀·난치질환 등도 주요 연구·개발 투자 대상이다. 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해 신약 개발 과정에 인공지능·빅데이터 활용도 촉진한다.
바이오의약품 수요 급증에 맞춰 5년간 제약바이오산업 생산인력 1만6000명과 임상시험 전문인력·의약품 규제과학 전문가 1만3000명, 인공지능·빅데이터 활용 신약개발 전문가 같은 정보통신·생명공학기술 융합 인재 4000명 등을 양성할 계획이다.
허가·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국무총리 산하에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를 두고, 필수의약품 허가 자료 제출 면제나 건강보험 등재 절차 간소화 등도 추진된다.
정부는 의료기기와 화장품 등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 활성화 방안도 마련했다. 복지부는 같은 날 오전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바이오헬스 산업 수출 활성화 전략방안’을 발표했다. 코로나19로 급성장한 체외진단기기 분야에선 신종 감염병과 당뇨·암 등 만성·중증질환 분야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화장품 분야는 주요 수출 시장인 중국을 겨냥해 국내 안전성 평가기관 결과가 추가 심사 없이 중국에서도 승인되는 절차를 추진하고, 중국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온라인 판매 활성화 등에 나선다. 나아가 지난해 22억달러 규모로 성장한 개인 맞춤형 화장품 관련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은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수출 분야 7위를 달성한 미래 성장형 핵심 산업”이라며 “‘바이오헬스 수출 지원 협의체’를 운영해 현장 체감도 높은 제도 개선 방안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