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이나 승인받지 않은 다이어트 보조제를 먹는 형태로 체중 조절을 한 여성은 월경곤란증(생리통)을 겪을 위험이 1.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너무 잦은 외식·배달 음식 섭취도 이런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4일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 및 이슈 발굴’(2016년) 조사에 참여한 14∼44살 여성 5829명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체중 조절 행동과 생리통 사이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를 대한의학회 학술지 4월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생리통으로 불리는 월경곤란증은 심하면 어지럼증, 구토, 요통 등을 동반한다. 이로 인해 학업·근무 수행능력이 낮아지거나 외부활동 제한 등 여성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번 연구 전체 참여자 가운데 3887명(66.7%)이 경증 월경곤란증, 1358명(23.3%)이 중증 월경곤란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 강도는 10점 중 6점 이하로 평가하면 경증, 7∼10점이라고 하면 중증으로 분류했다. 월경곤란증을 겪지 않은 이들은 584명(10.0%)으로 열에 하나 꼴이었다.
연구진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부적절한 체중 조절 행동’을 △단식·끼니 거르기 △다이어트 약(한약 포함) 복용 △승인되지 않은 다이어트 보조제 섭취 △한가지 식품만 지속해서 섭취하는 원푸드 다이어트 등 4가지로 분류했다.
연구 참여자 중 1가지 이상 ‘부적절한 체중 조절 행동’을 한 여성은 1284명(22.0%)이었다. 이들은 부적절한 체중 조절을 하지 않은 여성보다 경증 월경곤란증 위험이 1.22배, 중증 월경곤란증 위험이 1.53배 높았다. 중증 월경곤란증 위험은 승인되지 않은 다이어트 보조제를 먹은 여성이 미섭취 여성보다 1.56배, 단식하거나 끼니를 거른 여성이 식사를 거르지 않은 여성보다 1.44배 높았다.
주 5회 이상 외식·배달 등으로 음식을 섭취하면 1.72배, 지난 1년간 3㎏ 이상 체중 변화가 있었다면 1.28배씩 중증 월경곤란증 위험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부적절한 체중 조절 행동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운동, 식단 조절 등 건강한 방식으로 체중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부적절한 체중 조절을 한 여성을 장기간 추적 조사한 결과가 아니어서 인과관계를 증명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원은 월경곤란증을 포함해 가임기 여성 생식 건강 관련 연구를 추가로 할 예정이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