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핀셋·현미경은 옛말…AI가 영상분석해 일본뇌염 모기 알려준다

등록 2023-08-30 14:40수정 2023-08-30 14:45

질병관리청-충남대 등 공동개발
인공지능(AI)이 모기 영상에서 모기 종을 분류하는 모습. 질병관리청 제공
인공지능(AI)이 모기 영상에서 모기 종을 분류하는 모습. 질병관리청 제공

채집한 모기의 종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자동으로 분류하는 장비가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매개모기를 파악하고 방제에 활용하기 위해 충남대 등과 함께 ‘인공지능 기반 자동 모기 분류 감시장비’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장비는 이산화탄소로 모기를 유인해 채집한 뒤 영상으로 촬영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로 모기의 종을 분류한다. 분류한 값은 질병청 서버에 전송돼 모기 종의 채집 지역·지점별, 월별 발생 현황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기존에는 채집한 모기가 어떤 종인지 파악하기 위해 사람이 육안이나 현미경으로 보고 구분하는 작업을 해야 했다. 모기를 포집기로 채집하고 수거한 뒤 종을 분류하기까지 여러 날 걸렸다. 질병청은 “기존에는 모기 발생 감시정보를 즉각적으로 방제에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모기 발생 감시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장비를 개발했다. 이런 장비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개발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이 장비는 영상에서 모기의 생김새를 통해 종을 분류한다. 말라리아균을 옮기는 얼룩날개모기는 다른 모기 종보다 크기가 큰 편이고 날개 부분에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크기가 작은 편인데 주둥이 중앙에 넓은 흰색 띠가 있고, 뎅기열 등의 매개모기인 흰줄숲모기는 검은 몸체에 흰색 줄무늬가 있다. 이희일 질병청 매개체분석과장은 “인공지능이 영상에서 모기의 생김새 특징을 파악해 종을 판단한다. 장비를 개발할 때 다양한 모기의 생김새 특징을 인공지능에 학습시켰다”고 설명했다.

이 장비는 국내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금빛숲모기에 대해 94.7%의 분류 정확도를 보인다. 질병청은 앞으로 모기 데이터가 추가로 학습되면 정확도가 더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질병청은 다음달부터 일부 지자체와 함께 장비를 시범 운영하고, 추후 전국 지방자치단체로 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세계 1% 과학자’ 4년째 재판에 묶어둔 ‘검찰 정권’ 1.

‘세계 1% 과학자’ 4년째 재판에 묶어둔 ‘검찰 정권’

이충상, 약속한 ‘월급 반납’ 대신 기부…‘기부처’는 안 알려줘 2.

이충상, 약속한 ‘월급 반납’ 대신 기부…‘기부처’는 안 알려줘

‘디올백 사과 의향’ 질문했다더니…박장범 “기억 오류” 말 바꾸기 3.

‘디올백 사과 의향’ 질문했다더니…박장범 “기억 오류” 말 바꾸기

‘Han River’ ‘Hangang River’…한강 영문 표기, 맞는 것은? 4.

‘Han River’ ‘Hangang River’…한강 영문 표기, 맞는 것은?

“중국인 2명 이상 모이면 빌런”…서울교통공사, 비하발언 ‘급사과’ 5.

“중국인 2명 이상 모이면 빌런”…서울교통공사, 비하발언 ‘급사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