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민정준 교수
유전공학으로 특별히 제작된 세균(박테리아)을 써서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민정준 전남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5일 암 세포를 찾아가 암 조직 안에서 치료 물질을 분비하는 살모넬라균을 유전자 조작 기술로 만들어내어 국제 학술지 <캔서 리서치> 1월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암 진단·치료용 살모넬라균은 불필요한 유전자를 빼고 필요한 유전자를 넣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먼저 야생의 균보다 독성이 100만분의 1 이하로 줄어들도록 ‘독성 유전자’를 제거했으며, 의료진단용 영상에 찍힐 수 있는 ‘발광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이 세균은 암 세포를 찾아가 증식하는 속성을 지녀, 암 조직의 위치를 빛 신호로 알려줄 수 있다. 또 이 균이 암 조직에서만 세포를 파괴하는 단백질(사이톨라이신 에이)을 분비하도록 유전공학으로 설계해 대장암에 걸린 쥐를 대상으로한 실험에서 암 치료와 전이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연구팀은 “박테리아로 암을 진단하는 동시에 치료하며 그 과정을 영상으로 볼 수 있는 진단·치료 영상 복합기술은 세계 처음”이라고 밝혔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