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낭여행 왔다 치료법 꽂혀
신비한 매력에 한의대 입학
“독일에선 침술도 의료보험
한국서 한의학 홀대 아쉬워”
신비한 매력에 한의대 입학
“독일에선 침술도 의료보험
한국서 한의학 홀대 아쉬워”
라이문트 로이어씨의 ‘한의학 예찬’ 금발에 푸른 눈을 가진 한의사가 있다. “어디가 아프세요? 아~ 네. 침을 놓아야겠어요. 조금 따끔할 겁니다.” 한국말 솜씨 못지않게 환자들을 대하는 그의 손길이 능수능란하다. 환자가 서툰 한국말로 허리 통증을 호소하자마자, 그가 곧바로 진단을 내린다. “우선 허리 좀 만져볼게요. 자 어떠세요? 여기가 좀 틀어졌네요. 그리고 침도 좀 맞아야겠네요.” 오스트리아 출신인 그의 이름은 라이문트 로이어(46). 어느덧 10년차 한의사다. 강남 오당한의원 부원장, 강남인한의원 원장을 거쳐 5년 전부터는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외국인 환자를 주로 진료한다. 중국이나 대만 출신 한의사는 여럿 있지만, 서구 출신 외국인 한의사는 그가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다. 그러한 관심 덕분인지, 그의 진료실은 언제나 환자들로 붐빈다. 그럼에도 그는 “한국에서의 현재 삶이 무척이나 행복하다”며 “한의학의 우수성과 효능을 세계에 알리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며 웃었다. 그가 한의사가 된 건 ‘우연’이 ‘필연’이 되었기 때문이다. 어릴 적부터 ‘동방’을 동경했던 그는, 애초 3개월 일정의 한국 배낭여행을 계획했다. 대학을 마친 뒤 다니던 번듯한 직장에 불쑥 사표를 던지고, 1987년 가을 한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일본이나 중국이 아니라 굳이 한국이었던 건 “전혀 모르는 나라”였기 때문이었다. 첫번째 우연이다. 88올림픽을 치르기 전이었기에, 그뿐 아니라 유럽인들에게 ‘한국’은 생소한 나라였다. 그의 가족들이 “아프리카 어디에 있는 나라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굶어죽느냐”며 한국행을 반대했지만 그의 고집을 꺾지는 못했다. 또 하나의 우연은 ‘태권도’를 접한 것이다. 꼬집어 말하면 태권도 때문에 우연히 ‘침’을 맞았다. 한국의 모든 걸 배워 갈 욕심으로 그는 한국땅에 닿자마자 불교, 음식 기공 등 다양한 것을 배웠다. 태권도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태권도를 갓 배울 즈음 발목을 다쳤어요. 인근 한의원에 갔죠. 한약 고유의 향기가 먼저 저를 매료시키더군요. 그리고 친절한 의사선생님이요. 아픈 곳은 발목인데, 손, 발가락, 귀 뒤 등 여러 군데 바늘만 꽂더라고요. 신기하게도 통증 없이 걸을 수 있게 되더라고요. 그것이 침이었어요. 그 순간 머릿속이 ‘뻥’ 뚫리는 느낌이었죠.”
라이문트 로이어 자생한방병원 국제진료센터 원장이 허리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한 외국인 환자의 손목에 침을 놓아주고 있다. 김미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