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정책연구원 조사 결과
‘고령일수록 미숙아’는 줄어
‘고령일수록 미숙아’는 줄어
산모가 고령일수록 미숙아·저체중아 출산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임신부 연령 효과’가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모의 학력에 따른 미숙아·저체중아 출산 격차는 더욱 커져, 진료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6일 발표한 ‘고령 임산부의 임신 결과 및 정책지원 방안’을 보면, 고령 산모의 미숙아 출산 위험 비율이 1997년 2.83%에서 2009년 2.14%로 낮아졌다. 연구진이 통계청 인구동향조사를 바탕으로 5개 연도(1997, 2000, 2003, 2006, 2009년) 총 261만5967명의 출생 자녀 및 부부를 대상으로 미숙아(37주 미만)와 저체중아(출생시 체중 2500g 미만)를 조사한 결과다.
그러나 임신부의 학력에 따른 미숙아·저체중아 출산 격차는 심화돼 학력이 낮을수록 미숙아·저체중아 출산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중졸 이하 40~49살 산모의 미체중아 출산 비율은 7.7%, 대졸 이상은 6.9%로 그 차이가 0.8%포인트에 머물렀던 반면, 2009년엔 중졸 이하는 13.8%로 크게 높아졌고, 대졸 이상은 10%로 나타나 격차가 3.8%포인트로 껑충 뛰었다. 저체중아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또 부모의 학력과 직종을 고려한 결과, 부모의 학력, 특히 아버지의 학력이 낮을수록 영아사망 위험이 높았다.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영아사망 위험비율은 2006년 중졸 이하가 1.45%, 대졸 이상이 1.0%로 0.45%포인트 차이였지만, 2008년엔 중졸 이하 2.05%, 대졸 이상 1.0%로 나타나 격차가 1.05%포인트로 커졌다.
연구를 담당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동식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 결과 부모의 나이가 미숙아 출산에 미치는 효과가 줄어들고, 학력의 영향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경우, 건강상태가 양호하고 임신 대처 환경도 좋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