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_ H
원인 음식 달라질 수 있어
증상 발견 시에는 알맞은 처방 필요
여름은 식중독에 걸리기 쉬운 계절이다. 이중에서도 8월은 식중독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 시기는 식중독 발생이 가장 많은 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10~2014년 식중독 월별 통계자료를 보면 5년 동안 식중독 발생 건수는 8월이 4676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월(4457명)과 9월(3706명) 등의 순이었다.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8월이 사고 확률이 가장 높아지는 것이다.
식중독은 음식이 세균이나 기생충, 독소 및 화학물질 등 유해 물질에 오염됐을 때 생길 수 있는 질환이다. 바이러스가 원인인 바이러스성 장염도 식중독의 일종이다.
더운 여름에 식중독 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25도 이상의 온도에 음식물을 둔 채로 6∼11시간이 지나면 식중독균인 장염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식중독의 가장 흔한 증상은 구토와 설사, 복통이지만 발열이나 두통 또는 오한과 근육통, 어지러움, 부정맥, 호흡곤란, 마비와 같은 증상도 생길 수 있다.
상당수의 식중독은 원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구토가 심하면 포도알균 식중독이나 구토형 세레우스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을 먼저 의심할 만하다. 고열이 동반된 경우라면 살모넬라 위장관염, 세균성 이질 등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식중독 증상은 음식을 먹고 나서 빠르면 1시간, 늦어도 72시간 안에 나타난다. 식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보통은 마지막에 먹은 음식이 상했다고 추정하기 쉬운데, 식중독은 그 원인에 따라 잠복기가 다양해 마지막으로 먹은 음식이 식중독을 일으켰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음식을 먹고 식중독이 의심된다면 같은 음식을 먹은 사람의 증상도 살펴보는 것이 좋다. 같은 음식을 먹은 2명 이상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면 일단 식중독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또 설사로 인한 탈수를 막는 게 필수적인데 생수나 보리차를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고 알코올, 카페인, 설탕 함유 음료는 피해야 한다. 지사제도 함부로 먹으면 안 된다.
박승헌 기자 abcd@hani.co.kr
section _ H : 페이스북 바로가기
한겨레 자료사진. 비에비스 나무병원 제공
포도상구균. 한겨레 자료사진
한겨레 자료사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