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원 퇴원한 100명당 0.23명 자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1개국 중 2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1개국 중 2위
우리나라 정신질환자의 자살률이 일반인의 8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최근 4년 동안 계속 감소 추세를 기록하고 있었다.
1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건복지부에 제출한 ‘2014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의료 질 지표 생산 및 개발 보고서’를 보면, 2014년 정신질환으로 입원했다가 퇴원한 15살 이상 환자 가운데 30일 안에 자살한 환자는 100명당 0.23명이다. 2011년 0.31명, 2012년 0.27명, 2013년 0.24명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됐다. 2013년까지 집계된 퇴원 뒤 1년 이내 자살률도 꾸준히 감소했는데, 2010년 환자 100명당 0.87명에서 2011년 0.83명, 2012년 0.74명, 2013년 0.71명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2013년 기준 정신질환자가 병원에서 퇴원한 뒤 30일 이내 자살률은 0.24명으로 같은 해 일반 인구의 자살률인 0.029명에 견줘 8배 높은 수준이다. 또 같은 자료를 제출한 오이시디 다른 10개 회원국과 비교하면 한국은 슬로베니아 다음으로 높다. 슬로베니아의 경우 30일 이내 자살률은 0.31명, 1년 이내 자살률은 0.84명이었다. 오이시디 11개국 중에서는 영국이 30일 이내 자살률 0.03명, 1년 이내 자살률 0.14명으로 가장 낮았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