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31%가 4~6월에 발생…여름보다 많아
조리된 음식도 실온서 2시간 이상 방치 안돼
조리된 음식도 실온서 2시간 이상 방치 안돼
일교차가 큰 봄철을 맞아 식중독에 주의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두릅, 다래순, 고사리 같은 독성분이 있는 나물은 반드시 데쳐먹어야 한다.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2~2016년 5년 동안 식중독 환자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해마다 평균 6331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중 31%인 1981명의 환자가 4~6월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여름인 7~9월의 2336명(37%)보다는 적었지만 1~3월 847명(13%), 10~12월 1167명(19%)보다는 많았다.
식약처는 봄철엔 아침과 저녁으로 여전히 쌀쌀하다보니 낮 동안 음식물 보관을 소홀히하게 되고, 야산이나 등산로 주변 독성식물을 식용나물로 잘못 알고 먹는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선 야외로 음식물을 가져가는 경우 남기지 않을 만큼만 준비하고, 재료를 완전히 익히는 게 좋다고 식약처는 권했다. 밥과 반찬은 식힌 뒤 섞이지 않도록 별도 용기에 보관하고, 김밥 역시 재료를 완전히 식힌 후에 만들어야 한다. 조리된 음식도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해선 안 되며,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트렁크 등이 아닌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에서 보관해야 한다.
아울러 달래, 돌나물, 씀바귀, 참나물 등은 흐르는 물에 3번 이상 씻은 뒤 조리하고 두릅, 다래순, 고사리 등은 미량의 독성분이 있으므로 반드시 끓는 물에 데친 뒤 조리해야 한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