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4~2016년 통계 자료
2014년 751명→2016년 1113명
2014년 751명→2016년 1113명
도박중독으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고 있는 사람이 해마다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도박중독이라는 진단명으로 병원에서 진료받은 사람은 2014년 751명, 2015년 925명, 2016년 1113명으로 3년 사이에 48.2%가 증가했다. 나이대별 진료 인원은 지난해 기준 30대가 37.2%(422명)로 가장 많았고, 20대 32.5%(369명), 40대 13.7%(155명) 순으로 20∼30대 청년층이 전체 환자의 70%가량을 차지했다. 성별은 남성이 95.7%(1065명), 여성이 4.3%(48명)로 대부분이 남성이었다.
하지만 도박중독으로 치료를 받는 사람은 전체 도박중독자에 견줘 보면 소수에 불과하다.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가 2014년에 실태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20살 이상 성인의 도박중독률은 5.4%로 국내에서 200만명 이상이 평생에 한번은 도박중독을 겪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견줘 보면 도박중독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극히 소수다. 이는 도박중독을 범죄와 연관짓는 인식과 중독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것을 두려워하는 심리 등이 반영돼 치료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료법은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도박을 끊는 모임 참가 등이 있다. 도박중독으로 인해 우울증과 주의력 결핍 등 이차적인 문제가 나타났다면 약물치료가 도움이 된다. 도박중독 치료에서 가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족들은 보통 도박 때문에 생긴 경제적인 손실을 대신 해결해주면서 도박을 말리는데, 문제가 발생했다면 스스로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이 분야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