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욕창, 저소득층과 만성질환 앓는 노인들에게 많아

등록 2019-04-28 15:18수정 2019-04-28 20:34

박지웅(성형외과)·이진용(공공의학과) 보라매병원 교수팀 연구 결과
2009~2015년 건강보험 최초 욕창 유병률 패턴 분석 결과 발표
노인 및 저소득층 가운데 규모 작은 병원에 입원했을 때 많아
박지웅(왼쪽), 이진용 서울시립 보라매병원 교수
박지웅(왼쪽), 이진용 서울시립 보라매병원 교수
오랫동안 한 자세로 누워 있는 환자들이 자주 걸리는 욕창은 저소득층과 만성질환을 앓는 노인들에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창이란 한 자세로 계속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몸의 한 부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해당 부위에 물집이 생기다가 피부가 벗겨지고 점차 근육, 뼈까지 썩는 질환으로, 의식이 없거나 뇌 및 척수 마비 환자, 허약 노인 등 침대에 오래 누워 있는 환자에게 잘 생긴다. 심해지면 뼈나 혈액 전체로 감염이 퍼져 사망에 이르는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28일 박지웅(성형외과)·이진용(공공의학과)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교수팀이 2009~2015년 건강보험 자료를 바탕으로 욕창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체 입원 환자 가운데 욕창에 걸린 환자 비율은 2009년 0.74%에서 2015년 0.86%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환자의 90% 이상이 65살 이상으로, 노인층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발생 비율을 건강보험과 의료급여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의료급여에서 1.46배 높았다. 또 동반질환이 많을수록 욕창이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2015년 기준 건강보험 유형 및 지역에 따라 욕창 환자 수를 보면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44.4%가 광역시 지역의 의료기관에 입원했는데, 이 수치는 건강보험 가입자의 해당 비율 46.9%보다 낮았다.

의료기관의 기능 및 규모에 따라 상급종합-종합병원-병원-의원급으로 분류했을 때, 의료급여 수급자는 12%만이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반면 건강보험 가입자는 21.3%로 이보다 높았다. 반면 종합병원과 병원에 입원환 의료급여 수급 욕창 환자는 각각 32.1%와 50%로, 건강보험 가입자의 30.9%와 41.8%보다 높아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병원에 더 많이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노인층이면서 저소득층 환자가 욕창에 많이 걸리면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의료기관에 많이 입원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고령화 속도와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 1위인 만큼 욕창은 앞으로도 꾸준히 늘어날 것인데 앞으로 욕창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인 관심 및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헌재, 마은혁 불임명 권한쟁의·윤석열 탄핵 등 나흘 연속 변론 2.

헌재, 마은혁 불임명 권한쟁의·윤석열 탄핵 등 나흘 연속 변론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3.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4.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홍장원·곽종근이 탄핵 공작? 윤석열의 ‘망상 광대극’ [논썰] 5.

홍장원·곽종근이 탄핵 공작? 윤석열의 ‘망상 광대극’ [논썰]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