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가 복제 개 스너피에 대한 검증 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22일 오후 서울대 수의대에서 스너피와 함께 산책하던 한 연구원이 취재진을 피하기 위해 다른 연구원의 점퍼를 스너피에게 입힌 뒤 연구소로 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황우석 사태 미리 막지 못한 것 뉘우쳐야”
“서울대는 황 교수 사태를 극복해 다시 태어나야 한다.”
‘황우석 쇼크’가 서울대를 강타하면서 서울대 내부에서 ‘그동안 국내 최고대학이란 명성에 안주하면서 학문에 대한 엄격함을 잃어버린 것 아니냐’는 반성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공계와 소장파 교수들을 중심으로 이번 사건을 발전의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뼈를 깎는 반성을 해야한다는 ‘자성론’이 제기되고 있다. 생명과학분야 교수들 사이에서는 사태가 이렇게 커질 때까지 ‘견제’와 ‘비판’을 하지 못한 것을 뉘우치자는 ‘과학자적 책임론’도 나오고 있다. 이런 사건을 미리 막을 수 있도록 제도적, 학문적 장치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에 따라 서울대 안에 ‘학문적 검증 시스템’을 마련하는 문제가 조만간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공계·소장파 중심 “우리가 견제·비판 못했다”
검증시스템 마련·연구 윤리국 설치 등 논의 될듯 교수들은 우선 2004년 5월 <네이처>가 이미 난자 채취 과정에 대한 윤리적 의혹을 제기했는데도 공개적인 토론의 장을 만들지 못했던 것을 뒤늦게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인문대 철학과의 한 교수는 “난자 채취 문제 등은 꼭 자연과학 분야 학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초기에 이 부분에 대해 공론의 장을 마련하지 못한 것은 뉘우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교수들마저 <사이언스>의 권위에 기대 모든 것이 완벽할 것으로 믿었던 일반인들처럼 초기에 문제가 제기됐을 때 적극적인 검증을 요구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자기 반성’이 나오고 있다. 한 생명과학부 교수는 “황 교수가 ‘영웅’으로 미화되고, 연구비가 황 교수팀에 집중되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면서도 공론화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라며, “그 책임은 과학자 모두에게 있다”고 말했다. 이현숙 생명과학부 교수는 “생명과학계의 파이가 커진다는 기대감으로 ‘젓가락 과학’등 감성적인 접근에 대해 과학자들이 명확한 사실 전달을 소홀했던 부분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반성을 바탕으로 교수들은 “이제는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차례”라고 뜻을 모으고 있다. 이태수 대학원장은 “윤리문제를 검증못한 데에는 수의대 기관윤리심의위와 본부 윤리심의위의 역할이 제대로 명문화되지 않았던 ‘시스템의 문제’도 있다고 본다”며 “수의대 윤리위를 폐지하고 본부 윤리위에 흡수하는 방안 등을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이현숙 교수도 “황 교수팀 연구원들이 논문 조작에 대해 ‘언급’조차 하지 못한 것은 약자인 학생들을 보호할 장치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외국 대학처럼 학생들이 연구에 대한 불만이나 연구 과정에 대한 문제를 상담할 수 있는 상담기구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윤리국’을 설치하는 것도 주요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성노현 생명과학부 교수는 “외국 대학들처럼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 분야에도 연구윤리국을 설치해 표절이나 논문 조작 등에 대해 면밀히 감시·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검증시스템 마련·연구 윤리국 설치 등 논의 될듯 교수들은 우선 2004년 5월 <네이처>가 이미 난자 채취 과정에 대한 윤리적 의혹을 제기했는데도 공개적인 토론의 장을 만들지 못했던 것을 뒤늦게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인문대 철학과의 한 교수는 “난자 채취 문제 등은 꼭 자연과학 분야 학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초기에 이 부분에 대해 공론의 장을 마련하지 못한 것은 뉘우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교수들마저 <사이언스>의 권위에 기대 모든 것이 완벽할 것으로 믿었던 일반인들처럼 초기에 문제가 제기됐을 때 적극적인 검증을 요구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자기 반성’이 나오고 있다. 한 생명과학부 교수는 “황 교수가 ‘영웅’으로 미화되고, 연구비가 황 교수팀에 집중되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면서도 공론화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라며, “그 책임은 과학자 모두에게 있다”고 말했다. 이현숙 생명과학부 교수는 “생명과학계의 파이가 커진다는 기대감으로 ‘젓가락 과학’등 감성적인 접근에 대해 과학자들이 명확한 사실 전달을 소홀했던 부분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반성을 바탕으로 교수들은 “이제는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차례”라고 뜻을 모으고 있다. 이태수 대학원장은 “윤리문제를 검증못한 데에는 수의대 기관윤리심의위와 본부 윤리심의위의 역할이 제대로 명문화되지 않았던 ‘시스템의 문제’도 있다고 본다”며 “수의대 윤리위를 폐지하고 본부 윤리위에 흡수하는 방안 등을 논의중”이라고 밝혔다. 이현숙 교수도 “황 교수팀 연구원들이 논문 조작에 대해 ‘언급’조차 하지 못한 것은 약자인 학생들을 보호할 장치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외국 대학처럼 학생들이 연구에 대한 불만이나 연구 과정에 대한 문제를 상담할 수 있는 상담기구가 마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윤리국’을 설치하는 것도 주요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성노현 생명과학부 교수는 “외국 대학들처럼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과학 분야에도 연구윤리국을 설치해 표절이나 논문 조작 등에 대해 면밀히 감시·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