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FTA·비정규직 권리보장 요구 반향적고
한국노총 불참속 집값폭등 등 현안도 빠져
한국노총 불참속 집값폭등 등 현안도 빠져
민주노총이 예고한 대로 총파업을 벌였다. 올해 들어서만 7번째다. 총파업이라지만 사회 전체를 격동시켰던 1980년대 총파업과 비교하기 힘들다.
민주노총은 22일 197개 노조 14만5천여명이 총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전체 조합원 58만6천명(투표권자 기준) 가운데 24.7%가 참가한 셈이다. 노동부는 “92개 노조 5만8천여명이 참여했을 뿐”이라고 발표했다.
이날 총파업 현황과 서울시청 앞 집회 현장은 ‘머리’는 뜨겁지만 ‘손발’은 차가운 민주노총의 현실을 드러내준다.
총파업에 나선 민주노총은 △노동법 개악(노사정 로드맵) 저지 △비정규 권리보장 입법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저지 △산재보험법 전면개혁 등을 요구했다. 굵직한 내용들이다. 민경민 금속노조 교선실장은 “(국회와 정부가) 올바른 비정규법안 입법에 시간을 끌고 있고, 지식인과 시민단체도 관심을 두지 않으니 남은 것은 파업뿐”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노조 이상도 교선부장도 “노동자에게 온갖 피해가 돌아오는 파업을 어느 노조가 좋아하겠느냐”며 “자유무역협정 등이 워낙 노동자들에게 중대한 문제여서 움직일 수 있는 노조들이 나섰다”고 말했다. 절박하다는 얘기다.
그러나 민주노총의 ‘몸’은 무겁기만 하다. 지난 14일 끝난 총파업 찬반투표에서 투표율은 53.7%, 찬성률은 62%였다. 그것도 낮은 투표율 때문에 투표 기간을 한 차례 연장한 뒤의 결과였다.
이번 총파업엔 한국노총도 보조를 맞춰주지 않았다. 과거엔 큰 사회적 이슈를 두고 두 노총이 손을 맞잡는 것이 상례였다. 양쪽을 다 합쳐도 노조 조직률이 10.3%인 두 노총은 이번엔 ‘노사정 로드맵’ 처리 과정의 마찰과 갈등 때문에 다른 길을 걷고 있다. 대다수 노동자들에게 자유무역협정보다 더 절박한 문제인 ‘집값 폭등’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민주노총엔 부담이 된다.
민주노총 지도부도 고민하는 모습이다. 우문숙 대변인은 “지난 15일 4시간 경고파업을 하고 조준호 위원장이 머리를 깎고 여러 국회의원들을 만나 정부와 국회에 태도 변화를 촉구했지만 무시당했다”며 “민주노총에겐 파업 이외의 선택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상도 교선부장은 “잦은 파업으로 내부의 힘을 모으는 일이 상당히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이 추운 겨울을 맞고 있다는 얘기다. 김규원 김소연 이정애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