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물류 압박 현실화
정부 “임시 열차·선박 운송 등 확대”
주말을 지나 평일로 이어진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등 주요 항만에서 물류 차질이 현실화했다. 화물연대는 4일 “조합원뿐 아니라 비조합원까지 파업에 동참하고 있다”며 화물차 관련 법안의 국회 처리를 앞두고 파업 수위를 높이는데 총력전을 폈다. 이에 정부는 “화물연대의 불법행위를 엄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파업 참여 노동자들이 모두 자기 차량을 소유하고 있어, 뾰족한 파업 대책은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화물연대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합원 1만2천여명이 파업에 참여해, 부산·광양·인천항 등 주요 항만과 의왕컨테이너기지 등에서의 장거리 물류 차질이 본격화했다”며 “부산항 운행차량과 경인지역 건설장비운송 전문차량 등 비조합원들까지 파업에 가세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화물연대는 국회 건설교통위원회가 화물차 관련 법안심사 소위와 전체회의를 여는 5~6일에 맞춰 파업 수위를 최대한 끌어올리려 하고 있다.
실제 지난 주말, 철도 등을 이용해 가까스로 평소 물동량을 유지했던 ‘장거리 물류’는 평일로 들어서면서 파업에 따른 영향이 뚜렷하다. 인천항 컨테이너부두에서는 이날 오전부터 화물연대 회원들이 옛 인천항 백주년기념탑 인근에 천막을 치고 부두를 드나드는 컨테이너차량의 번호판을 확인하는 가운데, 수출입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평소의 26~29%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인천항 남항 선광인천 컨테이너터미널에서도 평소 월요일 오전엔 평균 348대의 컨테이너차량이 드나들었으나, 이날 낮 12시까지 드나든 컨테이너차량은 85대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2만8천여평의 야적장이 수입 컨테이너 화물로 가득차 근처 아암물류단지(5만여평)에도 야적이 시작됐다.
이에 대해 구자명 건설교통부 물류산업팀장은, 이번 파업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도 임시 화물편을 73회에서 85회로 늘리고 △선박 이용한 수송을 확대하며 △차주단체 소속 차량 1600대를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구 팀장은 “비조합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물차주 요청 때 경찰이 동승하고 피해차량을 보상하는 방안도 시행중”이라고 덧붙였다.
파업 불참 차량에 대한 방화·투석 등 공격은 전날 이택순 경찰청장의 엄단 방침이 나온 뒤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 청장은 이날도 “3일 저녁부터 방화가 많이 줄어들었으나, 이런 방화행위에 상급조직의 지시가 있었는지에 총력을 기울여 수사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한편, 화물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한 이영순 민주노동당 의원은 이번 파업은 한 1달에 60만원에 불과한 화물노동자들의 수입 때문에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날 낸 자료를 통해 “2005년 12월 컨테이너차량 운전자들의 월수입을 조사한 결과, 월 평균 151만1038원으로 이 가운데서 정부의 경유값 보조금 90만4852원을 제외하면 순수입은 60만6186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2005년 한국교통연구원의 조사에서도 컨테이너차량 운전자들의 월 평균 소득은 2/4분기 175만원에서 3/4분기 151만원, 4/4분기 139만원으로 꾸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김규원 전종휘 기자, 인천 부산/김영환 최상원 기자 che@hani.co.kr
2005년 한국교통연구원의 조사에서도 컨테이너차량 운전자들의 월 평균 소득은 2/4분기 175만원에서 3/4분기 151만원, 4/4분기 139만원으로 꾸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김규원 전종휘 기자, 인천 부산/김영환 최상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