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가 12일 울산시 북구 양정동 울산공장 인근 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참가 대의원 300여명의 만장일치로 31일까지 1단계 파업을 하기로 결의한 뒤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일부 대의원들은 이례적으로 찬반투표를 요구하다 퇴장했다. 울산/연합뉴스
노조, 존립 위기감에 파업 강행
교섭 물꼬 못트면 장기화 가능성
교섭 물꼬 못트면 장기화 가능성
현대자동차 노조가 12일 부분파업 강행과 함께 조건없이 회사 쪽과 협상에 나서겠다고 함으로써 노사가 조기에 협상테이블에서 만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성과급을 둘러싼 양쪽의 자세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어 결과는 속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파업 배경=시무식 폭력사태로 노조가 위기에 몰리고, 회사도 유례없이 강공으로 나와 20년 민주노조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주된 배경이다. 또 이번 집행부에서 성과급 문제를 마무리짓지 않으면 차기 집행부 선거에서 누가 집행권을 확보하더라도 성과급 문제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 노동부 등의 중재에도 대화 창구조차 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의도도 깔렸다. 한 확대운영위원은 “파업 전에 협상을 통해 사태 해결을 하는 것이 가장 모양새가 좋으나 회사가 요지부동”이라며 “결국 노조가 힘을 가지지 않으면 회사가 협상장으로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파업 일정 및 전망=노조가 당장 파업 강도를 높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합법성 논란을 떠나 파업 자체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또 처음부터 강도를 높이면 월급 봉투가 얇아진 조합원들 반발에 부닥쳐 동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노조는 물리적 충돌과 파업지도부 체포 등 돌발 변수가 없는 한 당분간 전면파업 대신 정상조업과 부분파업을 병행하며 비난여론을 피해갈 것으로 보인다.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회사는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노조 간부를 상대로 추가 고소고발과 손해배상 청구소송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노사가 빨리 교섭 창구를 열지 않으면 과거처럼 파업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하청업체 고충 및 시민여론 악화가 조합으로선 부담이다.
교섭 물꼬 틀 수 있을까?=노사가 20년 동안 지속해온 ‘막다른 대치 끝 타결’ 관례를 깨기 위해선 노사가 파업 전에 대화로 타결지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교섭방식을 놓고 맞서고 있는 노사가 우선 교섭 물꼬를 트는 게 중요하다. 다행히 노조가 이날 교섭방식에 연연하지 않고 16일 협상장에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사가 대화의 첫 걸음을 내딛는 문제는 회사의 선택에 달렸다.
이에 대해 회사 쪽 한 간부는 “그동안 성과급 삭감 문제 해결을 전제로 하지 않는 간담회 형식의 대화는 하겠다고 공식 표명한 이상 16일 협상장에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노사가 지난달 28일 회사가 노조에 성과급 50% 삭감을 통보한 이후 20여일 만에 처음으로 머리를 맞댈 가능성이 높아졌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