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가 22일 채용비리에 연루돼 구속되거나불구속 기소돼 사법처리를 받은 직원 18명을 해고하자 노조가 광주공장 생산라인을멈추겠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노조는 회사가 징계절차를 무시한데 대한 사과와 스포티지 생산라인 직원에 대한 신분보장을 요구하고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이를저지하기로 했다.
기아차 박홍귀 노조위원장은 22일 연합뉴스 기자와 통화에서 "내일 열리는 사측대표와의 만남에서 징계 절차의 잘못에 대한 인정과 스포티지 생산라인의 1천79명에대한 신분보장을 요구하겠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2가지 요구조건을 회사가 거부할 경우 광주공장 생산라인을 중단시키겠으며 이마저도 무시된다면 더욱 강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징계를 반대하지 않는다.
이중,삼중 처벌을 하더라도 필요할 경우 이를막지 않겠다.
그러나 형이 확정된 이후 본인 소명 등을 거쳐 적법한 절차에 따라야한다"며 "회사가 징계를 기회삼아 노조 길들이기를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특히 "회사가 징계를 무기로 스포티지 라인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에게 올가미를 씌워 통제하려 하고 있다"며 "회사가 선별해 징계하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이 그 증거"라고 회사를 강하게 비난했다.
노조는 이에따라 이날 오후부터 징계철회 등을 요구하며 광주공장 본관 점거 농성에 들어갔다.
박 위원장은 23일 예정된 혁신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회사측 대표에게 이를강력히 요구할 방침이다.
한편 기아차는 이날 채용비리에 연루돼 구속되거나 불구속 기소돼 사법처리를받은 직원 18명을 전원 해고했다.
기아차는 이날 광주공장에서 징계위원회를 열어 이번 사안이 단체협약과 취업규칙을 어겼다고 보고 해고를 결정한 후 이들에게 징계처분장을 발송했다.
징계위는 "이들이 징계사유인 '업무를 빙자한 사례, 증여, 향응을 받은 반 도의적 행위'에 해당돼 해고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징계위에는 불구속 기소된 5명과 보석중인 2명을 포함해 7명이 출두했으며 일부구속자들은 서면으로 소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채용비리에 연루됐으나 사법처리를 받지 않은 120명과 나머지 부정 입사자에대해서는 차후 징계를 논의하기로 했다.
이번 해고결정에 불복할 경우 당사자는 7일 안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으며 재심청구일로부터 7일 안에 회사는 다시 징계위를 열어 해고를 최종 확정한다.
(광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