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산하 “반대투쟁”…민주노총 계열 “지켜보자”
공공기관 이전 대상인 대형 공기업의 노조들은 지방 이전이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기관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국토지공사와 대한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대형 공기업 대부분과 국민연금관리공단, 건강보험관리공단, 산업인력공단 등이 속해 있는 한국노총 산하 전국공공노동조합연맹(공공노련)은 지난 22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앞에서 ‘공공기관 강제이전 결사저지 결의대회’를 열고 이전반대 투쟁에 나섰다.
명성훈 한국도로공사 노조 홍보국장은 “노-정간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인 강제 이전은 반대한다”면서 “특히 도로공사는 전국에 7개의 지역본부에 41개 지사를 갖추고 한지역에 500여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는데 본사의 지방이전은 아무런 경제 파급효과도 없을 뿐더러 이전비용만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흥재 대한주택공사 노조 부위원장은 “사업량의 60%가 수도권에서 이뤄지는데, 지방으로 강제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정치적 논리에 공기업을 희생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한국가스공사와 대한지적공사, 한국관광공사 등 일부 공기업과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신문화연구원 등 대부분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소속된 민주노총 산하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연맹(공공연맹)은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현광훈 공공연맹 정책국장은 “공공기관의 이전사업은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중요한 사업이므로 근본적으로 제동을 거는 것은 옳지 않다”며 “다만 정부가 추진과정에서 노동자들의 의견을 배제하고 일방적으로 추진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현 국장은 “다음 달에 정부에서 세부계획을 내놓으면 거기에 따라 각 사업장별로 의견들을 모아 대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정수, 과천/김기성 기자 jsk21@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