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동하는 전직을 한 중산층의 소득계층 변화
“비제조업으로 이직자, 중산층 잔류비율 겨우 51%”
노동연구원 첫 분석…대한상의도 “고용감소 너무 빨라”
노동연구원 첫 분석…대한상의도 “고용감소 너무 빨라”
구미공단 ㄱ업체에서 10년 동안 일해온 박아무개(39)씨는 지난 2003년 회사가 문을 닫으면서 일자리를 잃었다. 그 뒤 2년여 동안 동료들과 벌인 ‘공장 정상화’ 운동도 실패하고 2006년 4월 택배회사에 취업했다. 월 300만원가량 되던 급여는 180만원으로 떨어졌다. 노동강도도 심해져, 새벽 5시30분부터 저녁 8시까지 일했다. 박씨는 이달초 학원버스 운전사로 일자리를 옮겼다. 월급 140만원이 부족해 새벽에 우유배달로 35만원을 더 번다. 구미공단만 해도 최근 2년 사이 박씨가 다닌 ㄱ업체뿐 아니라, 한국전기초자, 엘에스(LS)전선 등 기업 10여곳이 폐업하거나 구조조정을 실시해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처럼 구조조정이나 폐업 등에 따른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가 소득구조의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켰다는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노동시장 양극화의 경제적 분석’ 보고서를 보면, 중산층 가구주를 기준으로 제조업에서 비제조업으로 직장을 옮긴 사람들이 다음해에도 중산층에 남는 비율은 51%였고, 저소득층으로 내려앉는 비율은 22%에 이르렀다. 제조업에 계속 있을 때는 중산층에 잔류하거나 저소득층이 되는 비율이 각각 68%와 7%였다. 반면 비제조업에서 제조업으로 이동했을 때는, 중산층 잔류 비율이 81%였고 저소득층으로 떨어지는 비율은 5%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해마다 동일한 표본을 조사하는 ‘한국노동패널(KLIPS)’(전국 도시거주 5천가구 대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1998~2004년 산업 간 이직을 한 가구주들의 1년 뒤 소득수준 변화를 추적한 결과다. 중산층은 전체 가구소득 평균값의 70~150%에 해당되는 소득계층을 말한다. 신관호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위기 뒤 진전된 양극화는 제조업 비중 축소 과정에서 제조업에서 방출된 근로자들이 소득의 편차가 심한 비제조업으로 이동한 결과와 무관하지 않다”며 “비제조업 쪽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창출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이달초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역량 제고방안’ 보고서에서 “제조업 고용 비중이 1995년 23.7%에서 2000년 19.2%, 2003년 18.6%로 너무 빠른 속도로 줄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의 제조업 고용비중은 1989년 27.8%로 정점에 이른 뒤 연평균 0.58%포인트씩 줄어 경제협력개발기구 소속 15개국 가운데 영국(0.61%포인트) 다음으로 감소 폭이 컸다. 한편, 한국노동연구원 자료를 보면 국내 취업자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지난 2001년 122만원에서 2005년 156만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최상위 집단(10분위)과 최하위 집단간(1분위)의 월평균 근로소득의 격차는 2001년 6.4배에서 2005년 8.2배로 커졌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