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 대의원들이 21일 오후 울산 문화회관에서 열린 대의원 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울산/연합뉴스
한-미자유무역협정 비준 반대 파업에 동참할 예정인 울산 현대자동차공장은 파업에 대한 찬반 공방으로 21일 하루 종일 뜨거웠다. 이날 오후 1시30분 울산 북구 양정동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앞 문화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현대자동차지부 임시 대의원대회에선 본 안건인 올해 임·단협 논의가 끝난 뒤, 일부 대의원들이 “파업 찬반투표를 하기로 했다가 왜 하지 않았느냐? 지금이라도 찬반 투표를 하자”고 지도부를 압박했다. 이에 이상욱 현대차지부장은 “금속노조 대의원 대회에서 결정한 사항이어서 번복할 권한이 없다”며 “예정대로 파업을 강행하겠다”고 말했다. 공장 안에서는 자주회·민노회 등 7개 현장조직이 이날 처음으로 한-미자유무역협정 비준 반대 투쟁을 지지하는 공동 홍보물을 조합원들한테 나눠줬다. 이들은 “한-미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되면 10년 동안 대미수출은 22.7% 늘어나는 반면, 수입은 44.4%나 증가해, 1994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멕시코처럼 7명 가운데 1명이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며 “조합원들은 총파업 투쟁에 모두 나서라”고 독려했다.
반면, 60여명의 조합원이 활동하고 있는 가칭 신노동연합은 이날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합원이 동의할 있는 합법적인 절차에 따라 파업의 정당성이 확보돼야 한다”며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파업은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주·아산공장의 일부 동호회원과 현장활동가들도 “찬반투표를 이행하든지 아니면 파업을 철회하라”는 요지의 성명을 잇따라 냈다. 장외 공방도 이어졌다. 울산시민연대 등 울산의 17개 시민·사회·정당·노동단체는 전날 울산상공회의소 등 140개 시민·사회·경제단체가 금속노조 중앙본부를 항의 방문해 파업 철회를 요구한 것에 반발해 이날 울산시청에서 금속노조 파업 지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유례없는 졸속 협상인 한-미자유무역협정 비준에 반대하는 금속노조의 파업을 악의적으로 훼손하려는 공세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금속노조가 서민의 생존권과 직결된 한-미자유무역협정 무효화 투쟁에 나선 것은 우리사회의 공익을 위한 용기있는 투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금속노조는 더욱 힘차게 싸우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