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매운동 전조직 동원”
민주노총이 23일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에서 연 ‘공권력 투입과 반노동 이랜드기업 규탄’ 기자회견에서 이석행 위원장이 민주노총의 전 조직을 동원해 이랜드 자본 퇴출을 위한 불매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랜드, 대국민 여론전 “노조가 거짓말…대량해고 없어”
민주노총 “매출0투쟁 조직화”…금융거래중단운동도
정부, 해산뒤 무기력…이 노동은 내년 총선출마 뜻만 정부가 이랜드그룹 노조원들의 농성을 강제해산한 뒤, 노사가 전면적인 실력 대결로 치닫고 있다. 이랜드그룹은 재계의 ‘엄호’ 속에 대국민 여론전에 나섰고, 민주노총과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랜드 불매운동에 금융거래 중단운동까지 추가했다. 이랜드그룹은 23일 “점거농성 해제에 따라 노조에 교섭 재개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이날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대국민 호소문’을 보내 “(호소문을) 주변의 아는 사람 100명에게 인터넷 이메일과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해 전달해 줄 것”을 독려했다. 이랜드는 호소문에서 “일부 강성 노조원과 외부 세력으로 인해 이랜드 직원 1만5천명, 매장주 5천여명, 입점업체 임직원 1만2천명, 납품 및 협력업체 등 9만여명과 그들의 가족을 포함한 30만명이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며 “(노조가) ‘5가지 큰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랜드는 또 “재계약이 안 된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발생했으나, 대량해고는 있지도 않았으며 있을 수도 없는 일”이며 “외주화는 비정규직 보호법을 회피하려는 게 아니라 계산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전문화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랜드 매출 제로(0) 투쟁’을 한 달 동안 전 조직적으로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우선 이날부터 29일까지 지역본부별로 최소 한 곳 이상의 이랜드 계열 매장 앞에서 ‘이랜드 규탄 집회’를 열고, 매장에서는 천원짜리 물건을 카드로 산 뒤 환불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랜드를 압박할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또 이날 공정거래위원회 등을 찾아 “지난해 자산규모 2천억원인 이랜드그룹이 1조7천억원 규모의 까르푸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부당한 자금동원 여부 등 각종 의혹에 대해 철저한 재조사를 해 달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이랜드의 주거래 은행인 우리은행 쪽에도 기업대출을 비롯한 각종 금융거래 중단을 요청했다. 정부는 여전히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이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총선에 출마할 뜻을 밝히면서도 이랜드 사태와 관련해선 뚜렷한 해법을 얘기하지 않았다. 이 장관은 “제3자(민주노총)가 불매운동을 벌이는 등의 방법으로 개입하는 게 사태를 올바르게 해결하는 쪽인지 의문스럽다”며 ‘노사 자율교섭을 통한 해결’만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랜드는 ‘노조가 사탄의 유혹에 빠져 농성을 벌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이랜드월드 대표이사 명의의 전자우편이 직원들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진 것과 관련해, 이날 ‘누군가가 해킹을 통해 대표이사 명의로 발송한 것’이라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민주노총 “매출0투쟁 조직화”…금융거래중단운동도
정부, 해산뒤 무기력…이 노동은 내년 총선출마 뜻만 정부가 이랜드그룹 노조원들의 농성을 강제해산한 뒤, 노사가 전면적인 실력 대결로 치닫고 있다. 이랜드그룹은 재계의 ‘엄호’ 속에 대국민 여론전에 나섰고, 민주노총과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랜드 불매운동에 금융거래 중단운동까지 추가했다. 이랜드그룹은 23일 “점거농성 해제에 따라 노조에 교섭 재개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이날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대국민 호소문’을 보내 “(호소문을) 주변의 아는 사람 100명에게 인터넷 이메일과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해 전달해 줄 것”을 독려했다. 이랜드는 호소문에서 “일부 강성 노조원과 외부 세력으로 인해 이랜드 직원 1만5천명, 매장주 5천여명, 입점업체 임직원 1만2천명, 납품 및 협력업체 등 9만여명과 그들의 가족을 포함한 30만명이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며 “(노조가) ‘5가지 큰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랜드는 또 “재계약이 안 된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발생했으나, 대량해고는 있지도 않았으며 있을 수도 없는 일”이며 “외주화는 비정규직 보호법을 회피하려는 게 아니라 계산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전문화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맞서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랜드 매출 제로(0) 투쟁’을 한 달 동안 전 조직적으로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우선 이날부터 29일까지 지역본부별로 최소 한 곳 이상의 이랜드 계열 매장 앞에서 ‘이랜드 규탄 집회’를 열고, 매장에서는 천원짜리 물건을 카드로 산 뒤 환불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랜드를 압박할 계획이다. 민주노총은 또 이날 공정거래위원회 등을 찾아 “지난해 자산규모 2천억원인 이랜드그룹이 1조7천억원 규모의 까르푸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부당한 자금동원 여부 등 각종 의혹에 대해 철저한 재조사를 해 달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이랜드의 주거래 은행인 우리은행 쪽에도 기업대출을 비롯한 각종 금융거래 중단을 요청했다. 정부는 여전히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상수 노동부 장관은 이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총선에 출마할 뜻을 밝히면서도 이랜드 사태와 관련해선 뚜렷한 해법을 얘기하지 않았다. 이 장관은 “제3자(민주노총)가 불매운동을 벌이는 등의 방법으로 개입하는 게 사태를 올바르게 해결하는 쪽인지 의문스럽다”며 ‘노사 자율교섭을 통한 해결’만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이랜드는 ‘노조가 사탄의 유혹에 빠져 농성을 벌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이랜드월드 대표이사 명의의 전자우편이 직원들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진 것과 관련해, 이날 ‘누군가가 해킹을 통해 대표이사 명의로 발송한 것’이라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