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초등학교 등 공공기관에서 일하다가 해고된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자신들이 당한 해고 실태를 고발하고 있다. 이들은 비정규직법 폐기와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고 철회, 비정규직 철폐를 주장하며 인권상담센터에서 무기한 농성을 시작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공공기관 해고 여성노동자들, 국가인권위서 농성
경기지자체 17곳 환경미화원 1천여명 파업 예고
경기지자체 17곳 환경미화원 1천여명 파업 예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해고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무기한 농성에 들어가는 등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단체행동이 잇따르고 있다.
전국민주연합노조 경기본부 소속 오산시 환경미화원들은 29일 △청소업무 민간위탁 중단 △적정인원 충원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화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30일부터는 경기도 수원·안양·고양시 등 나머지 16개 자치단체 소속 환경미화원과 상용직 노동자, 청소대행업체의 환경미화원들도 파업에 가세할 예정이다. 경기본부 쪽은 조합원들의 파업과 관련해 “일단 31일까지 시한부 파업을 하되, 자치단체들의 대응을 보아가며 추가 행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금속노조 기아자동차 비정규직지회의 조합원 400여명도 이날 기아차와 하청업주 등에 집단 교섭을 요구하며 7일째 파업을 계속했다. 기아차 비정규직지회는 “임단협 과정에서 원·하청 회사에 12차례 교섭을 요구했지만 한 차례도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밖에 이랜드일반노조와 뉴코아노조도 81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또 이날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담센터에서는 서울 송파구청과 성신여고, 언주초교, 서울대 보라매병원 등 4개 공공기관에서 일하다 지난달 이후 해고된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과 공공서비스노조 간부 등 20여명이 무기한 농성을 시작했다. 이들은 “정부가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다면,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은 공공기관의 해고 노동자들의 고통부터 보살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울대 보라매병원 영양실에서 23개월 동안 일하다 해고된 뒤 농성에 참여한 김은희(42)씨는 “지난 6월 병원 쪽 요청으로 연말까지 6개월 계약을 맺었지만, 1주일도 안돼 담당 부서장에게 1개월짜리 단기 계약서 작성을 강요당한 뒤 결국 해고됐다”고 말했다. 김씨는 “2년을 넘게 근무하면 무기계약으로 전환하도록 한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대책 때문에 병원 쪽이 나를 해고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현대자동차 등에서 사내하청 노동자로 일하다 노조활동 등을 이유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 40여명도 사내하청 노동자의 직접고용과 해고자 원직복직 등을 촉구하며 이날로 사흘째 1500리 도보 순회투쟁을 벌였다. 지난 27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출발한 이들은 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차 본사까지 23일 동안 걸어서 이동할 예정이다.
한편, 전국증권노조 코스콤(옛 한국증권전산) 비정규지부는 지난 28일 코스콤의 사용자 지위 인정을 촉구하며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냈다. 황영수 코스콤 비정규지부장은 “형식적으로 협력업체에 소속돼 있지만 실질적으로 코스콤의 직접 지휘·감독 아래 일을 해왔다”며 “불법파견을 인정하고 직접 고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노조는 다음달 6일 이후 파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