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공장 질병 유소견자 관리도 허술
한국타이어 직원들의 뇌심혈관계 질환 사망에 높은 노동강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9월부터 한국타이어 직원들의 사인과 업무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해온 을지대병원 산업안전의학과 오장균 교수는 30일 "대전.금산공장 직원들의 근육손상지표(CPK) 이상수가 27%로 나타나 12%인 연구소 직원들에 비해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CPK 이상수는 근육질환이나 심장질환이 발생하면 증가한다.
오 교수는 "숨진 연구소 직원 2명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는 등 사인과 업무의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장에서 근무하다 숨진 직원 중 4명은 연장근무 등 높은 노동강도가 사망에 직접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고 1명은 업무 관련성이 의심돼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이어 "숨진 공장 근로자들의 경우 보통 하루 5-14㎏의 타이어를 최대 350개까지 들어올리는 등 근골격계에 부담이 되는 작업을 반복해왔으며 대부분 교대근무와 연장근무 등으로 강도높은 노동에 시달려온 것으로 보인다"며 "반복적인 육체노동이 사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주로 육체노동을 하는 근로자들의 심장질환 위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높은 노동강도와 연장근무 등이 문제가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오 교수는 또 "직업병을 주의해야 하는 '질병 유소견자'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전공장에서 '질병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관리는 34%로 낮았으며 그것도 대부분 형식적으로 1회성에 그쳤다"며 "숨진 대전공장 직원 2명의 경우 회사측의 지속적인 관리가 있었다면 사망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교수는 이와 함께 "대전공장의 경우 질병 유소견자 관리를 경력이 1년도 채 되지 않은 보건관리자가 담당하고 있었다"며 "보건관리를 위해 산업보건 전문의를 채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 (대전=연합뉴스)
오 교수는 또 "직업병을 주의해야 하는 '질병 유소견자'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전공장에서 '질병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관리는 34%로 낮았으며 그것도 대부분 형식적으로 1회성에 그쳤다"며 "숨진 대전공장 직원 2명의 경우 회사측의 지속적인 관리가 있었다면 사망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교수는 이와 함께 "대전공장의 경우 질병 유소견자 관리를 경력이 1년도 채 되지 않은 보건관리자가 담당하고 있었다"며 "보건관리를 위해 산업보건 전문의를 채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박주영 기자 jyoung@yna.co.kr (대전=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