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500여명 항의집회
이주노동자 2백여명을 비롯해 서울경기인천이주노동자노동조합(이주노조), 민주노총 등 41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야만적 강제추방 중단, 출입국관리법 개악 저지, 이주노조 표적탄압 분쇄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소속 5백여명은 9일 오후 2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 집회를 열고 이주노동자의 인권·노동권 전면보장 등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는 오는 18일 ‘세계 이주민의 날’을 기념하고 최근 잇따른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탄압에 항의하기 위해 열렸다.
이들은 “지난 2월 10명의 목숨을 앗아간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사건의 악몽이 채 잊혀지기도 전인데, 최근 교회까지 들어가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을 토끼몰이식으로 단속하는 등 한국 정부의 이주민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며 “지난달 27일 ‘표적연행’된 이주노조 지도부 3명도 하루빨리 석방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출입국관리법 개악 중지와 ‘이주노동자 권리협약’ 비준 등을 요구하며 명동성당까지 행진했다.
앞서 국내외 50여개 단체와 엠네스티는 최근 이주노조 지도부 석방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비대위는 지난 5일부터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사무실에서 항의농성을 벌이고 있다.
‘세계 이주민의 날’은 1990년 12월18일 유엔총회에서 이주노동자들의 노동할 권리와 자유롭게 귀국할 권리, 국적·인종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을 권리 등 기본권 보장을 촉구하는 ‘이주노동자 권리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이 채택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2003년 20개국이 협약을 비준함에 따라 국제인권규약으로서 효력을 갖게 됐지만, 한국은 아직 협약에 가입하지 않았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