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고유가 극복 민생종합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8일 오후 성남시 분당구 대한송유관공사 판교저유소에서 관계자들이 주유소로 운반할 석유 완제품을 유조차에 적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덤프트럭·레미콘 “지원대상서 빠져” 16일 총파업
화물연대도 “운송료 현실화 턱없어” 오늘 파업투표
화물연대도 “운송료 현실화 턱없어” 오늘 파업투표
정부가 8일 경유차 사용자에게 유가 인상분의 50%를 환급해 주는 등의 고유가 대책을 내놨지만, 총파업을 선언한 화물연대와 건설노조의 반발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전국건설노동조합은 이날 성명을 내어 “정부 대책에는 덤프트럭, 레미콘 운전기사 등 건설기계 노동자들만 빠져 있다”며 “유독 건설기계만 뺀 이유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오희택 건설노조 교육선전실장은 “골재나 모래를 실어 나르는 화물트레일러가 유가 보조금을 받으면서 덤핑을 일삼아, 유가 보조금을 못 받는 건설기계 노동자들은 이중고에 시달리는 상황”이라며 “정부 대책을 본 건설기계 노동자들의 분노가 ‘차라리 우리를 죽이라’는 폭동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고 전했다.
건설노조 건설기계분과는 오는 16일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국운수노조 화물연대도 논평을 내어 “정부 대책에 실망을 넘어 분노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리터당 293원인 유류 보조금에 더해, 한시적으로 경유값이 리터당 1800원이 넘으면 인상분의 50%를 화물운송 노동자들에게 돌려주기로 했다.
그러나 박상현 화물연대 법규부장은 “노동자들이 경유값 1400~1500원을 기준으로 운송료를 현실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도 고려하지 않은 대책”이라며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표준운임제 도입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은 없이, 화물운송 노동자와 국민들에게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화물연대는 9일 조합원 1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치른 뒤, 지도부가 총파업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