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20% 감원추진…고용불안 벼랑 몰려
필수유지업무제 적용 탓 운행 차질 크게 없을 듯
필수유지업무제 적용 탓 운행 차질 크게 없을 듯
지하철 1~4호선을 운행하는 서울메트로의 인력 감축 계획에 반발해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오는 26일 총파업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17~19일 벌인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전체 조합원 9306명 가운데 8398명(90.2%)이 참가한 투표에서 6247명(74.4%)이 찬성해 파업안이 통과됐다고 19일 밝혔다.
노조는 이날 저녁 서울 군자차량기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26일 이전까지 서울시와 서울메트로가 민간 위탁·분사 등 일방적인 구조조정에 대한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파업을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군자차량기지에서 조합원 8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파업투쟁 결의를 다지는 야간총회를 열었다. 오는 22일에는 서울메트로의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서울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 예정이다.
노동자들이 파업을 결의한 가장 큰 이유는 인력 감축에 따른 고용 불안 때문이다. 서울메트로는 2010년까지 일부 업무를 외부 용역업체에 맡기는 등 총인원 1만여명 가운데 20.3%인 2088명을 감축할 계획이다. 1단계로 지난 15일부터 동작역 등 8개 전철역과 2개 유실물센터 운영 업무를 민간 업체에 위탁했고, 올해 말까지 차량기지 안 전동차 운전 업무 등도 분사할 계획이다.
노조는 “노사 합의 없이 인력 감축을 해선 안 된다”며 “외주화·분사로 비정규직이 늘어나면 지하철 안전이 위협받는다”고 반발하고, 회사는 “누적 적자가 5조원에 이르러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고, 외주화는 경영권에 해당해 교섭 대상이 아니다”라며 맞서고 있다. 노사 견해차가 워낙 커, 총파업 시작 이전에 합의를 끌어내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올해부터 공익사업장의 필수유지업무 제도가 시행돼, 파업 중에도 평일 출근시간대(오전 7~9시)에는 차량 운전 인력의 100%, 평일에는 65.7%가 일해야 한다. 서울메트로는 “심야 1시간 연장 운행이 중지되는 것 말고는, 대체 인력 2900명을 투입해 정상 운행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