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이 현지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활동 등을 심하게 탄압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24일 서울 영등포 사무실에서 지난 4월 인도를 방문해 실태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며 “현대자동차는 인도공장에서 심각한 노동 탄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또 정부가 지난 7월 인도공장 노조 간부 2명의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것을 두고도 “‘한국 기업에서 불법 활동을 했다는 혐의’를 이유로 아직 기소도 되지 않은 이들의 비자 발급을 거부한 것은 노조의 국제 교류활동을 봉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현지 실태 조사를 다녀온 박정곤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현대차 인도법인이 합법적인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노조 임원 12명을 해고하고 7명은 수천㎞ 떨어진 곳에 강제 전보하는 등 부당 노동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노조가 설립돼 정규직 노동자 1750명 가운데 1천명 이상이 노조에 가입했으나, 회사가 노조를 인정하지 않고 단체교섭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회사 쪽은 지난 4월 말 노조 깃발, 게시판을 훼손하면서 충돌이 빚어지자 노조원 50여명을 고소·고발했다고도 민주노총은 밝혔다. 박 부위원장은 “노동자를 개로 묘사한 게시물을 사내 게시판에 붙이는 등의 인권 침해도 있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해외 공장을 늘리며 세계 일류기업을 지향한다는 대기업이 노사관계에선 구시대적인 인식을 벗지 못하고 있다”며, 현대차에 △노조 인정 △부당 노동행위 중단 △노조원 고소 철회 등을 촉구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4~5월 인도공장 직장협의회와 노조 사이에 노-노 갈등이 있어 회사와도 충돌이 빚어졌던 것 뿐이며, 현재는 아무런 문제 없이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