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필수유지인력 문제로 당장 파업돌입은 무리”
지하철 1~4호선을 운행하는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26일로 예정됐던 총파업을 잠정 연기했다. 서울메트로와 노조는 25일 오후 2시부터 26일 새벽 0시30분까지 방배동 서울메트로 본사에서 인력 감축 계획 등을 두고 막판 교섭을 벌였지만 결렬됐다. 하지만 노조는 교섭 중단 뒤 “파업시 일해야 하는 필수유지인력 지정과 관련해 법적인 논란이 있어 26일 새벽 4시로 예정됐던 총파업을 잠정 연기한다”고 밝혔다.
핵심 쟁점인 인력 감축 문제에 대해, 노사는 10시간 넘게 이어진 최종 교섭에서 수차례 정회를 거듭하며 의견을 조율했지만 결국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회사가 “노조가 경영 혁신안에 전적으로 동의하면 앞으로 필요한 사항은 노사 협의로 추진하겠다”는 안을 내놨지만, 노조는 “일방적인 구조조정을 진행하려는 회사의 기존 태도에서 달라진 게 없다”며 반발했다. 서울메트로는 2010년까지 일부 업무를 외부 용역업체에 넘기는 등 민간위탁·분사를 통해 전체 인원의 20.3%인 2088명을 줄일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동작역 등 8개 역과 유실물센터 2곳은 지난 15일 이미 민간업체에 위탁 운영 중이다. 노조는 △외주화·비정규직 확대 중단 △20% 감원 계획 철회 △지하철 공공성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새벽 교섭이 중단된 뒤, 노조는 긴급 중앙투쟁본부회의를 열고 ‘총파업 잠정 연기’를 결정했다. 이호영 선전홍보부장은 “필수유지인력을 지정하는 문제를 놓고 노사 양쪽이 지정 시기·범위 등을 놓고 법적인 논란을 벌이고 있는데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결정을 유보하는 등 혼란스런 상황이라서, 현실적으로 당장 총파업에 들어가기는 무리라고 판단했다”며 “이후 총파업 일정 등에 대해선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시행된 필수유지업무 제도에 따라, 파업 중에도 평일 출근시간대인 오전 7~9시에는 차량 운전 인력의 100%, 평상시에는 65.7%가 필수적으로 일해야 한다. 회사 쪽은 지난 24일 필수유지업무 근무자 3226명을 지정해 노조에 통보한 바 있다.
황예랑 김경욱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