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자 복직 안되면 ‘내일 파업’ / 오는 20일 파업을 예고한 전국철도노동조합의 해고 노동자들이 18일 오전 서울 용산 차고지 옥상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25개 시민단체 촉구
전국철도노동조합과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오는 20일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25개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인 ‘철도·지하철 안전과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시민사회노동 네트워크’와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은 18일 오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기업 선진화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고 성실하게 노사협상을 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기자회견문에서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인 철도와 지하철이 최근 진행되는 구조조정으로 인해 위기에 놓여 있다”며 “서울시와 철도공사가 외주 용역을 전면 확대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무리한 인력 감축을 추진하는 등 수익성 위주의 구조조정안을 강행하면 대형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또 “철도·지하철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공공서비스 요금이 대폭 오르고, 노동자들의 비정규직화를 부추기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정부와 한국철도공사,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일방적인 구조조정 강행을 중단하고 노사 교섭으로 문제를 풀 것 △‘외주화, 민간 위탁, 1인 승무, 역사 무인화’ 등의 구조조정 대신 이용자·노동자의 안전을 최우선하는 정책으로 전환할 것 등을 촉구했다.
철도와 서울지하철의 노사 양쪽은 이날도 구조조정 등 쟁점을 놓고 협상을 벌이며 막판 의견 조율을 시도했다. 20일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올해부터 시행된 ‘필수유지업무 규정’에 따라 철도노조는 차량 운행률을 △고속철도(KTX) 56.9% △통근열차 62.5% △도시철도 63% 유지해야 하고, 서울지하철노조도 평상시 대비 65.7%(출근시간대 100%, 공휴일 50%)를 유지해야 한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