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2646명 감축” “고통분담”
정리해고 협상조차 못해
정리해고 협상조차 못해
기업 회생 절차(옛 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가 지난 8일 내놓은 경영 정상화 계획은 △인력 2646명 감축 △자산 매각 △5개 신차 개발 등으로 요약된다. 회사 쪽은 인력 감축으로 연간 232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쌍용자동차지부는 그에 앞서 ‘정리해고 철회’를 전제로 한 고통분담 방안을 내놓았다. 핵심은 △신차 연구개발기금 1천억원 담보 △비정규직 기금 12억원 출연 등이다. 이창근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기획부장은 “회사 쪽이 정리해고로 절감한다는 비용 2320억원 가운데 1천억원 이상을 노조가 책임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체불된 임금 등을 노조가 내놓을 수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 그는 “총고용만 보장되면, 노조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쪽이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쟁점은 정리해고 여부다. 정무영 쌍용차 홍보부장은 “노조 제안을 노사 협상 테이블에서 검토할 수 있다”면서도 “채권단의 채무 동결로 근근이 이어가는 처지에서 노동자들의 총고용을 보장하긴 힘들다”고 말했다.
아직 본격적인 노사 협상은 열리지 않고 있다. 회사 쪽이 사실상의 정리해고 방안을 내놓은 상황에서 협상에 나섰다가 자칫 ‘노동자 대표와의 성실한 협의’라는 정리해고 요건만 충족시켜줄 것이라는 노조 쪽의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노조는 13~14일 찬반 투표에서 파업을 포함한 쟁의행위를 결의한 상태다.
그렇다고 노조가 파업이라는 ‘강수’를 당장 두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의 회생 여부가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법원의 판단에 달려 있는 탓이다. 다음달 22일 열리는 이해관계인 집회에서 법원과 채권단은 쌍용차의 자구 노력을 평가해 기업 회생 절차의 지속 여부를 결정한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