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에 진입했던 쌍용자동차 임직원 3천여명과 경찰이 철수한 다음날인 28일 오후 한 조합원 가족이 충돌로 폐허처럼 어지럽게 된 경기도 평택시 칠괴동 공장 안을 유모차를 끌고 지나가고 있다. 평택/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비해고자 3천여명 공장진입 이틀만에 철수
노사 모두 “충돌 장기화땐 다죽는다” 공감
노사 모두 “충돌 장기화땐 다죽는다” 공감
파업 38일째인 쌍용자동차 사태가 노사 및 노-노간 충돌이 현실화하는 등 최악으로 접어들고 있다. 오랜 대치와 충돌로 인적·물적 손실도 커져 가는 가운데, ‘파산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사태를 풀 노사간 대화는 일체 진전이 없고, 정부는 여전히 팔장만 낀채 방관하고 있다.
■ 상처뿐인 노사 및 노-노 충돌 28일 찾은 평택시 칠괴동 쌍용차 평택공장은 전쟁 뒤의 폐허같았다. 노조원과 가족들이 정문 안쪽 마당에 설치해 농성을 벌였던 20여개의 천막은 산산이 부서져 널부려져 있었고, 격렬한 충돌 당시 내던져진 물병도 이곳저곳 나뒹굴었다. 곳곳에 충돌의 상흔을 남긴 채 평택공장은 ‘일시적 소강상태’다. 하지만 27일 쇠파이프를 든 용역 경비원 150여명과 새총으로 볼트를 발사하며 맞선 노조원들의 ‘전투’ 등 이틀간의 충돌로 부상자가 속출했다. 소방당국은 80여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사쪽은 공장 진입 다음날인 27일 밤 10시 직원들을 공장에서 철수시켜 공장은 다시 노조원들이 차지했다. 사쪽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임직원들의 공장 진입은 없을 것이고, 지난 26일 제시한 최종안을 노조가 수용하느냐에 따라 파산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파업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은 퇴거 불응, 불법 점거, 공무집행 방해, 집시법 위반 등 혐의로 쌍용차 노조원 7명과 시민단체 관계자 등 23명을 연행해 조사 중이다. 평택공장 하늘에는 이날 유난히 짙은 먹구름이 잔뜩 드리워져 있었다.
■ 공멸 위기, 하지만 꽉 막힌 대화 크고 작은 충돌로 인적·물적 피해는 물론 양쪽의 감정의 골도 갈수록 깊어가고 있다. 사쪽은 쌍용차 생산가동이 멈춘 지난 4월25일부터 지난 23일까지 매출 차질액은 1455억원에 이르고, 올해 1/4분기 적자도 2700여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오는 9월15일까지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내야하는데, 현실은 녹록치가 않다. 노사는 이대로라면 ‘공멸’이라며 제각기 ‘공생’을 말한다. 하지만‘공멸’이 아닌 ‘공생’을 위한 양쪽의 시각차가 너무나 크다는 점이 문제다.
지난달 21일 노조 파업 뒤 노사간 대화는 모두 6차례. 하지만 번번이 976명의 ‘정리해고 철회’와 ‘파업 해제, 공장 정상화’에 대한 입장 차이로 타결이 이뤄지지 못했다. 지난 6일 사쪽이 450명의 추가 명퇴 접수 등의 조정안을 내놨지만, 노조쪽은 이를 “정리해고를 치장한 것”이라며 거부했다. 1일에는 노조쪽이 회사에 “정리해고 철회 및 2300억여원의 자구안”을 제시했지만, 사쪽이 “일자리 나누기에 불과하다”며 이를 거부했다.
충돌 이후 짙어진 감정과 책임론 공방도 또 하나의 걸림돌이다. 사쪽은 27일 평택공장을 철수하면서 “화염병 등의 폭력행위가 벌어지고 공장 내부는 온갖 외부세력이 집결, 더욱 극단적인 행위를 종용한다”며 노조쪽과 외부 세력에 사태의 책임을 돌렸다. 한상균 노조 지부장은 “정부가 처참한 노동자들의 고통을 방치해 우리가 저항할 방법은 옥쇄파업 뿐이며, 동료들을 강제 동원해 노조를 공격하고 파괴하는 사쪽의 공격은 회사를 다시 한번 죽이는 일”이라고 말했다. 사태 악화의 책임은 오히려 정부와 사쪽에 있다는 주장이다.
평택/홍용덕 김기성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