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정치권 반응
6일 쌍용자동차 노사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자 정치권과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야당과 시민단체들은 노사간 이견 조정에는 뒷짐을 진 채 강경 진압에 골몰해온 정부에 대해선 반성을 촉구했다.
김유정 민주당 대변인은 “사선을 넘나드는 투쟁 끝에 극적으로 타결된 것은 다행스럽지만 그동안 경찰이 노동자들의 인권을 유린하고 과잉 진압한 부분에 대해선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는 경기 평택시 쌍용차 평택공장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갖은 고통을 겪어온 노동자들이 평화적 해결을 바라는 국민들의 염원을 실현시키기 위해 큰 결단을 이룬 데 대해 박수를 보낸다”며 “이제는 정부가 공적자금 투입 등 쌍용차 회생을 위한 책임 있는 조처를를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는 “이번 사태로 드러난 이명박 정권의 무책임성, 폭력성에 대해서는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논평을 내어 “쌍용차 노사협상 타결을 환영하며 그동안의 불신과 반목을 넘어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길 당부한다”며 “정부도 농성 조합원들에 대한 형사처벌을 최소화하고, 쌍용차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구해 노사 합의의 정신을 존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승창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협상 타결로 쌍용차 사태가 최악의 상황을 피한 것은 다행이지만, 다시 확인된 공권력의 폭주는 시민·사회 단체 모두가 고민해야 할 숙제로 남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한 발씩 양보해서 극한 상황을 피하게된 점을 환영한다”며 “이제 협력업체와 평택 지역경제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는 데 정부와 관련자들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은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