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9천만원·기사딸린 고급차
조흥은행 파견직 임원급 대우
한국노총 전·현직 간부들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이른바 ‘노동귀족’들의 생활 단면이 드러나고 있다.
한국노총 중앙근로자복지센터 건립과 관련해 건설업체로부터 2억2천만원의 검은 돈을 받은 혐의로 25일 구속된 한국노총 이남순(53) 전 위원장(현 한국노총 장학재단 이사장)은 소속 회사인 조흥은행으로부터 연봉 9천만원에 3천㏄급 고급 승용차(다이너스티)와 운전기사를 제공받아왔다. 또 이 전 위원장은 장학재단 이사장으로 일하면서 판공비로 한 달에 70만원씩을 받았다.
1971년 조흥은행에 입사한 이 전 위원장은 노조위원장에 당선된 81년부터 올해까지 파견 직원 자격으로 조흥은행에서 급여를 받아왔다. 그는 노조원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그동안 승진을 하지 않은 채 과장과 차장 직급인 4급을 유지하고 있지만, 대우는 임원급이었다. 4급 직원은 연봉이 6500만~7천만원이다.
조흥은행 관계자는 “이 전 위원장은 노조간부로 한국노총에 파견돼 있기 때문에 급여 규정에 따라 임금을 지급한 것”이라며 “이 전 위원장은 승진은 하지 않았지만 호봉이 해마다 올라 같은 직급에 견줘 급여가 많아졌다”고 밝혔다.
비교적 ‘양질’의 노동운동가로 알려진 그가 왜 검은 돈을 받았는지, 그리고 돈을 어디에 썼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그는 25일 영장실질심사에서 “리베이트로 받은 2억2천만원을 어디에 썼느냐”는 판사의 질문에 “개인적으로 쓰기도 했지만 대부분 조직에 들어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부지검의 한 수사 검사는 “이 전 위원장이 조사가 시작되자마자 혐의 내용을 모두 시인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구속영장이 청구된 뒤 ‘경찰서 유치장에서 밤을 지내는 건 격에 맞지 않으니 검찰청 조사실에서 있으라’는 권유에 ‘사람 사이에 격이 어디 있느냐’고 대답해 놀랐다”고 전했다. 이 전 위원장은 검찰 수사에 자신의 이름이 오르내리자 제공받아온 승용차를 은행 쪽에 반납했으며, 구속되기 전 조흥은행 쪽에 사직 의사를 밝혔다.
또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택노련) 비리와 관련해 검찰 수사를 피해 달아난 권오만 한국노총 전 사무총장과 구속된 권원표 전 상임부위원장, 최양규 전택노련 사무처장이 2002년 12월 부산의 한 택시회사를 인수해 운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시기적으로 봤을 때 이번 사건과 관련된 리베이트로 회사를 차렸을 가능성은 작다”며 “권 전 사무총장은 택시회사를 운영할 수 있을 만큼 개인 재산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한국노총 철거업체서도 7천만원 받아 한국노총과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택노련)의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 남부지검 형사6부(부장 오세인)는 26일 한국노총이 중앙근로자복지센터 건립과정에서 시공업체와 설계업체 외에도 철거업체로부터도 발전기금을 받았다고 밝혔다. 검찰은 한국노총이 5억7천만원짜리 철거 공사를 맡은 ㅅ사로부터 7천만원을 발전기금으로 받았고, 설계와 감리를 맡은 ㄴ건축사무소로부터도 감리 부문에서 1억원, 설계 부문에서 3천만원 등 1억3천만원을 발전기금으로 받은 것을 확인했다. 이로써 한국노총은 복지센터 건립과 관련해 철거, 설계·감리, 시공업체로부터 모두 29억6천만원의 발전기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노총이 지난 13일 발전기금을 받은 것이 문제가 되자 시공업체인 ㅂ건설로부터 27억6천만원, ㄴ건축으로부터 발전기금 1억원을 받았다고 공개한 금액보다 1억원 많은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노총 쪽은 “고의로 빠뜨린 게 아니라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실수로 빠진 것 같다”며 “검찰에는 관련 자료를 모두 냈다”고 해명했다. 한편 검찰은 구속된 권원표 전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이 ㅂ건설 등으로부터 받은 2억4500만원 외에 추가로 수억원을 더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검찰은 권 전 부위원장이 받은 총 금액이 6억~7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권 전 부위원장과 이남순 전 위원장이 복지센터와 관련해 받은 리베이트가 9억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주희 기자
한국노총 철거업체서도 7천만원 받아 한국노총과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택노련)의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 남부지검 형사6부(부장 오세인)는 26일 한국노총이 중앙근로자복지센터 건립과정에서 시공업체와 설계업체 외에도 철거업체로부터도 발전기금을 받았다고 밝혔다. 검찰은 한국노총이 5억7천만원짜리 철거 공사를 맡은 ㅅ사로부터 7천만원을 발전기금으로 받았고, 설계와 감리를 맡은 ㄴ건축사무소로부터도 감리 부문에서 1억원, 설계 부문에서 3천만원 등 1억3천만원을 발전기금으로 받은 것을 확인했다. 이로써 한국노총은 복지센터 건립과 관련해 철거, 설계·감리, 시공업체로부터 모두 29억6천만원의 발전기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노총이 지난 13일 발전기금을 받은 것이 문제가 되자 시공업체인 ㅂ건설로부터 27억6천만원, ㄴ건축으로부터 발전기금 1억원을 받았다고 공개한 금액보다 1억원 많은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노총 쪽은 “고의로 빠뜨린 게 아니라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실수로 빠진 것 같다”며 “검찰에는 관련 자료를 모두 냈다”고 해명했다. 한편 검찰은 구속된 권원표 전 한국노총 상임부위원장이 ㅂ건설 등으로부터 받은 2억4500만원 외에 추가로 수억원을 더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검찰은 권 전 부위원장이 받은 총 금액이 6억~7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권 전 부위원장과 이남순 전 위원장이 복지센터와 관련해 받은 리베이트가 9억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주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