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은 1일 서울 양재동 한국교총 회관 강당에서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투명성ㆍ도덕성ㆍ민주성ㆍ자주성 등에 관한 노조 혁신안을 의결했다.
이용득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한국노총이 지금처럼 총체적인 위기를 맞은 적은없었지만 이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다"면서 "투명성, 도덕성, 민주성과 자주성을 확립해 나가는 조직혁신을 통해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대회에서 투명성 제고를 위해 외부감사제 도입, 조합원의 정보공개청구권보장 및 감사결과 인터넷 공개, 회원조합ㆍ지역본부에 대한 회계감사제, 200만원 이상 지출에 대한 통제확인관 제도 도입 등의 규정이 통과됐다.
이 안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위해 비영리 공익법인이나 단체가 추천한 회계사 등외부 전문가 1명 이상이 포함된 회계감사위원회를 구성, 감사를 실시해 대의원대회에서 결과를 인준해야 한다.
예산 200만원 이상 지출이 필요한 물품 구매나 계약 등에 대해 통제확인관이 사전 검토를 실시, 엄격한 예산 집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도덕성 강화 차원에서 현직 위원장·부위원장·사무총장 및 임원으로 입후보한조합원의 재산공개, 비리연루자의 피선거권 제한 및 노조간부 윤리강령 채택 등이결의됐다.
비리 연루자의 피선거권 제한 규정은 조합원이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았을 때는5년 간 피선거권을 제한해 노조 간부 직위를 이용한 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엄격히제재하게 된다.
임원 및 임원 입후보자의 재산의 공개 방안도 의결됨으로써 선출된 노총 임원의재산변동사항이 1년에 한번씩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도록 했다.
한노총은 민주적 조직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위원장-사무총장 러닝메이트제, 여성ㆍ비정규직 할당제, 조합원 200명당 1명꼴로 선거인단 확대, 중앙집행위원회 신설 등의 안건도 의결했다. 이제까지 임원 선출을 위해 조합원 800명당 1명 꼴로 대의원 선거인단(740여명)을 뽑았던 것을 조합원 200명당 1명 꼴로 크게 늘려 현장의 의견이 임원 선출 과정에 적극 반영되도록 했다. 자주성 강화를 위해 회원조합이 납부하는 의무금을 6개월 이상 미납시권리 정지,의무금 인상, 지역본부 의무금 일괄징수 및 교부금제 전환 검토 등의 방안도 통과됐으며 재정자립 특별위원회도 설치키로 했다. 특히 재정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고서는 비리가 재발할 수 있다는 점을 중시, 위원장이 주축이 돼 15명 이내로 재정자립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총연맹과 회원조합, 지역본부의 재정 실태를 파악하고 재정자립도를 높이는 방안도 마련된다. 한노총은 알선 청탁 금지, 금전적 이득 추구금지, 예산과 기금 투명사용, 노조활동 정보 거래 금지, 강령 철저 준수 등을 담은 노조간부 윤리강령을 채택했다. 이날 대회는 모든 과정이 한국노총 홈페이지( www.fktu.or.kr )를 통해 인터넷 생중계됐으며 처음으로 전자투표 제도를 통해 진행됐다. 이날 대의원대회는 한노총의 위기 의식을 반영, 500여명의 대의원이 열띤 논의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일부 고성과 욕설이 오가기도 했다. 한편 한노총은 지난 31일 정부 보조금을 기반으로 지어진 여의도 근로자복지센터가 준공검사를 받음에 따라 오는 5일께 한국노총 사무실을 이전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한노총은 민주적 조직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위원장-사무총장 러닝메이트제, 여성ㆍ비정규직 할당제, 조합원 200명당 1명꼴로 선거인단 확대, 중앙집행위원회 신설 등의 안건도 의결했다. 이제까지 임원 선출을 위해 조합원 800명당 1명 꼴로 대의원 선거인단(740여명)을 뽑았던 것을 조합원 200명당 1명 꼴로 크게 늘려 현장의 의견이 임원 선출 과정에 적극 반영되도록 했다. 자주성 강화를 위해 회원조합이 납부하는 의무금을 6개월 이상 미납시권리 정지,의무금 인상, 지역본부 의무금 일괄징수 및 교부금제 전환 검토 등의 방안도 통과됐으며 재정자립 특별위원회도 설치키로 했다. 특히 재정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고서는 비리가 재발할 수 있다는 점을 중시, 위원장이 주축이 돼 15명 이내로 재정자립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총연맹과 회원조합, 지역본부의 재정 실태를 파악하고 재정자립도를 높이는 방안도 마련된다. 한노총은 알선 청탁 금지, 금전적 이득 추구금지, 예산과 기금 투명사용, 노조활동 정보 거래 금지, 강령 철저 준수 등을 담은 노조간부 윤리강령을 채택했다. 이날 대회는 모든 과정이 한국노총 홈페이지( www.fktu.or.kr )를 통해 인터넷 생중계됐으며 처음으로 전자투표 제도를 통해 진행됐다. 이날 대의원대회는 한노총의 위기 의식을 반영, 500여명의 대의원이 열띤 논의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일부 고성과 욕설이 오가기도 했다. 한편 한노총은 지난 31일 정부 보조금을 기반으로 지어진 여의도 근로자복지센터가 준공검사를 받음에 따라 오는 5일께 한국노총 사무실을 이전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