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노조 파업에 버스회사측은 도대체 뭐하나"
2일 오전 4시부터 마산.창원지역 시내버스 노조가 전면 파업에 돌입해 시민들이 적잖은 불편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작 최소한의 비상수송 대책을 강구해야 할 회사측은 팔짱만 끼고 있어 시민들의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해마다 노사협상 결렬과 파업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대해 올해 시민들은 "노조가 파업하면 사용자측도 파업하느냐"며 회사측의 무성의함에 대해 원성이 쏟아지고있다.
실제 2일 파업에 돌입한 뒤 사용자측의 비상조치는 물론 파업을 조기에 해결하려는 노력마저 외면하고 있다.
지난해 마산.창원시로 무려 48억원의 재정지원금을 보조받은 버스회사들은 전체운영비 예산의 상당액을 재정지원금으로 받았지만 결국 최종 피해부담은 시민의 몫이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올해도 버스업체 스스로 불성실한 협상태도와 비현실적인 협상안으로 노조의 파업을 부추겨 결국 행정의 지원을 받아 또 1년을 버티려는 속셈(?)이 아닌가하는 따가운 시민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버스회사 관계자는 "솔직히 회사입장에서 마땅한 시민 비상수송대책이 없어그저 송구스럽고 죄송할 뿐"이라고 말하면서 "대책은 당국에서 나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책임 떠넘기기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추한식 마창시내버스협의회장은 "회사도 인내심을 갖고 노사협상에 주력하고 있지만 비상수송대책까지 마련할 정도의 여력이나 엄두를 못내고 있다"며 시민불편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보다는 업체부담만을 걱정했다.
결국 사용자측은 노조파업으로 인한 조업 중단시 대체인력 투입을 위해 회사 직원이 아닌 사원을 채용하거나 대체할 수 없다는 점만 내세워 당국에 대책마련을 전가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시민은 "따지고 보면 시내버스 회사의 노사간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늘 피해는 시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오고 모든 재정적 부담도 시민혈세로 감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대체인력 투입 등 제도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앞으로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위해서는 이같은 파업사태에 대비한 대체인력 확보 등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협상결렬을 이유로 파업만을 선택한 노조와 대안없이 사태를 방관하고있는 사용자측에 대해 "이번에는 파업의 악순환을 끊자"는 각오로 고통을 감수하고있어 노사 모두 엄청난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마산.창원/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