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아침 전북 완주군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앞에서 현대차 노동자들이 사내하청 노동자 18명에 대한 계약해지 방침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현장] 현대차 전주공장 ‘비정규직 고용보장 투쟁’
집회 참가자 갈수록 증가
“임단협 때보다 많이 모여”
잔업·특근거부 지속 결의
시민단체 잇단 ‘지지 방문’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이 노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원·하청 연대투쟁의 모범’에서 ‘노동운동의 새로운 방향 제시’까지 다양한 평가가 나온다. 16일 아침 7시 전북 완주군 현대차 전주공장 앞. ‘원·하청 단결하여 정리해고 막아내자’는 구호가 적힌 현수막 뒤로 사람들이 하나둘 몰려들었다. 대열은 금세 200여명으로 불어났다. 한 참가자가 말했다. “점점 더 많아져요. 임·단투 때도 이렇게 많이 모이기는 힘든데.” 현대차 전주공장이 주목받는 이유는 정규직 3500명이 비정규직(사내하청 노동자) 18명의 해고를 막기 위해 싸운다는 상징적 의미 때문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생산 공정의 일부를 하청업체에 맡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는 평소에 적은 월급을 받다가 구조조정 때는 먼저 해고된다. 2008년 말 시작된 경제위기 이후 현대차에서만 700여명의 사내하청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었다. 현대차 전주공장 버스부 노동자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고속버스 하루 생산대수를 줄이기 위해 회사와 협상을 벌였다. 노조는 총고용 보장을 조건으로 생산대수 축소에 합의했다. 그러나 회사 쪽은 지난달 23일 비정규직 18명을 계약해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정규직 노조는 지난 5일과 12일 두 차례 잔업을 거부했다. 버스부 소속 노동자들은 수당 40만원을 포기하면서까지 네 차례의 잔업과 주말 특근을 거부했다. 정규직 노동자들이 자기 일도 아닌데 투쟁에 참여한 이유는 의외로 단순하다. 버스부에서 일하는 서아무개(35)씨는 “동료가 쫓겨나는 걸 눈 뜨고 바라볼 순 없었다”고 했다.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전주위원회의 이동기 의장은 “회사가 주야 맞교대를 도입하면서 정확한 생산량을 예측하지 못해놓고, 이제와서 노동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며 “단 한 명도 전주공장을 나가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 전주공장 비정규직 고용보장 투쟁 일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