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7개 시.군 청소대행업체 환경미화원 200여명이 27일 새벽 1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환경미화원들은 △57~61세까지 제각각인 퇴직정년을 60세로 동일화 △주 5일 근무 및 휴일근무시 특별근로수당 지급 △퇴직금 강제 중간정산 중단 △지역별 협의수당 동일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사 양측은 지난 4월부터 6차례에 걸쳐 협상을 벌이고 24일에는 충남지방노동위원회가 조정에 나섰지만 `휴일근무시 특별근로수당 지급'과 `퇴직정년 동일화' 요구안에 대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총파업에는 보령시와 아산시, 서산시, 태안군, 당진군, 서천군, 부여군 등 7개시.군의 청소대행업체 9곳이 동참했으며 해당 지역의 하루 생활쓰레기는 687t 정도이다.
충남도는 이날 해당 시.군에 소속된(직영) 환경미화원과 가로청소미화원 등 130여명을 투입해 쓰레기 수거에 나섰고 파업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 공공근로자들을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직영 환경미화원이 5명에 불과한 부여군과 직영 미화원이 전혀 없는 서천군의 경우 큰 불편을 겪고 있으며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충남도 환경미화원 노조인 충남공공환경산업노조의 송영신 위원장은 "각 시.군은 환경미화원을 소모품이자 이용하기 좋은 제물로 취급하고 퇴직정년과 주5일제에따른 수당지급 등 모든 부분에서 공무원 기준과 민간인 기준을 자기들 편한 대로 적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충남공공환경산업노조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충남도청 앞에서 집회를 벌이고 파업기간 동안 각 시.군에서 순회집회를 벌이는 한편 다음달 4일 예산군 환경미화원 50명과 충남도 도로보수원 30명 등 다른 시.군까지 파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대전/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