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여 시민단체 “지지”
“한진중, 정리해고 풀어야” 30일 문화제 등 적극 검토
일부 주민·상인들 “반대”
“도로통제·쓰레기 등 불편” 지역정치권도 “개입 말라”
“한진중, 정리해고 풀어야” 30일 문화제 등 적극 검토
일부 주민·상인들 “반대”
“도로통제·쓰레기 등 불편” 지역정치권도 “개입 말라”
부산 한진중공업의 무더기 정리해고 철회를 촉구하는 전국 시민·노동자들의 ‘3차 희망버스’가 30일 부산에 오는 것을 두고 부산에서 엇갈린 의견이 나오고 있다. 3차 희망버스는 19일로 195일째 선박크레인에서 농성중인 김진숙(51)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산본부 지도위원을 응원하고 정리해고 철회를 촉구하는 뜻에서 전국적으로 조직되고 있다.
김 지도위원이 농성중인 영도조선소가 있는 부산 영도구의 일부 주민·상인단체와 2차 희망버스 음악회가 열렸던 부산역 근처 상인단체들은 3차 희망버스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영도구 주민자치위원장 협의회 총무 김한수씨는 19일 “경찰과 주최 쪽이 또다시 도로에서 대치하면 주민들만 피해를 보게 되므로 3차 희망버스를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영도구 주민자치위원장 협의회와 영도구의회 의원 9명 가운데 7명은 지난 12일 “1·2차 희망버스 때 각종 쓰레기와 고성방가, 도로 통제 등으로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며 “3차 희망버스가 영도에 오면 강력히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역 근처 상인단체 등 15곳도 18일 “3차 희망버스 계획이 강행되면 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허남식 부산시장과 제종모 부산시의회 의장, 장화익 부산지방고용노동청장, 신정택 부산상의 회장은 지난 13일 부산시청 기자실에서 ‘희망버스는 3자 개입’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달리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와 참교육실천학부모회 부산지부, 부산녹색연합 등 부산지역 시민사회노동단체 80여곳이 꾸린 ‘한진중공업·부산경제살리기 부산시민대책위원회’는 3차 희망버스 참가자들과 적극 연대하겠다는 자세다. 이들 단체는 지난 9~10일 2차 희망버스가 부산에 갔을 때 거리행진 등을 주도하지는 않았지만, 3차 희망버스 참가자들이 해운대 등에 권역별로 집결하면 앞장서 문화제 등을 여는 것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18일부터 부산역 앞에서 하루 평균 50여명씩 벌이는 무기한 연속 단식에도 동참하고 있다.
김광수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운영위원장은 “영도 주민들의 불편을 핑계삼아 부산 시민 전체가 3차 희망버스를 반대하는 것으로 호도하려는 시도는 적절하지 않다”며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는 방안을 찾겠지만, 정리해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희망버스를 계속 응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새날교회 안하원 목사는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문제는 개별 사업장의 의미를 떠나 재벌과 노동자의 갈등을 상징하는 것이므로 주민들이 이해해줬으면 한다”며 “희망버스 참가자들도 쓰레기 등을 가져가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7일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안에서 농성을 벌이다 법원 집행관 용역 150명한테 끌려나온 노동자 118명은 18일 “집행관이 불법으로 고용한 용역이 노조원들을 강제 해산시켜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며 집행관과 회사 쪽을 상대로 1인당 200만원씩 2억3600만원의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부산지방법원에 제기했다.
부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