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정부 “정규직 전환율 높이게 기간제 계약 4년으로”
노총 “상시적 업무 정규직 전환, 법으로 명시해야”

등록 2015-03-25 21:55수정 2015-03-26 08:13

[노사정위 노동시장 개편 쟁점 (하)] 비정규직 종합대책
정부 “법 규율받는 파견 확대를”
노총 “불법파견 감독 강화 먼저”
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이중구조개선특위에서 논의 중인 내용 가운데 타결 전망이 가장 어두운 게 비정규직 대책이다. 정부가 지난해 말 내놓은 ‘비정규직 종합대책’과 노동계의 요구 사이에 간극이 워낙 큰 탓이다.

정부가 현재 2년으로 제한된 기간제 노동자의 계약 기간을 노동자 본인(35살 이상)이 원하면 4년으로 늘리자고 제안한 배경은 기간제 사용 기간이 길수록 정규직 전환율이 높다는 데에 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접근이라면 기간제 사용 기간을 10년으로 늘리면 전환율은 더 높아질테니 아예 기간제한 규정을 두지 말자는 주장과 다를 바 없다는 게 노동계의 반론이다. 한국노총은 대신 2007년 기간제법을 도입할 때 빠뜨린 비정규직 사용 사유 제한 방식으로 해법을 마련하자고 주장한다.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는 정규직으로 전환할 것을 법률에 명시하고 정부가 이를 강하게 추진해나가라는 것이다. 물론 재계는 이 주장에 적극적인 반대하고 있다.

정부는 55살 이상 노동자, 고소득 전문직 노동자 등은 현재 32개로 제한된 업종 구분 제한없이 파견 형식으로 쓸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한다. 노동법으로 규율되지 않는 도급 형식의 외주화, 위탁보다는 파견이 낫지 않느냐는 얘기다. 한국노총은 도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지 않고 파견만 확대 허용하면 그나마 직접고용된 노동자들마저 파견노동으로 내몰릴 위험이 크다고 본다. 이에 현재 노동 현장에 만연한 사내하청, 불법파견에 대한 정부의 감독을 강화하는 게 우선이라고 맞서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원청과 하청 사이 격차 해소 방안 관련 논의는 원론적인 수준의 동의는 이뤄졌지만 구체적 방안을 놓고는 노사정의 견해가 크게 엇갈린다. 한국노총은 대기업 초과이익공유제 등의 제도 도입을 요구한다. 반면 재계는 동반성장위원회 등에서 논의하자는 태도이고, 정부는 성과공유제를 확산하고 지난해 도입한 기업소득환류세제 등을 통해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단독] 실손보험 믿고 ‘툭하면 도수치료’…과잉진료 손본다 1.

[단독] 실손보험 믿고 ‘툭하면 도수치료’…과잉진료 손본다

“65살 정년연장은 단계적 적용…재고용 도입하면 ‘의무화’ 필요” 2.

“65살 정년연장은 단계적 적용…재고용 도입하면 ‘의무화’ 필요”

[단독] ‘김건희 인맥’ 4명 문화계 기관장에…문체부 1차관 자리도 차지 3.

[단독] ‘김건희 인맥’ 4명 문화계 기관장에…문체부 1차관 자리도 차지

새가 먹는 몰캉한 ‘젤리 열매’…전쟁도 멈추게 한 이 식물 4.

새가 먹는 몰캉한 ‘젤리 열매’…전쟁도 멈추게 한 이 식물

한동훈 ‘장관 시절 댓글팀 운영 의혹’, 경찰 수사 착수 5.

한동훈 ‘장관 시절 댓글팀 운영 의혹’, 경찰 수사 착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