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상반기 임금체계 조사
3691곳 중 12%가 성과연봉제
14%는 “임금 개편 계획 중”
3691곳 중 12%가 성과연봉제
14%는 “임금 개편 계획 중”
올해 상반기 100인 이상 사업장 9곳 중 1곳이 성과연봉제 등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 체계를 개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6월 30일 기준)에 사업장 3691곳을 조사한 결과, 직무·성과 중심으로 임금 체계를 개편한 사업장이 12.4%(454곳)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임금 체계를 개편한 사업장 비중(1만283곳 중 556곳)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이 가운데 연봉제를 운영 중인 사업장은 36.7%(1356곳)로 나타났고, 연봉의 일부를 성과와 연동시키는 성과연봉제를 운영하는 사업장은 12.2%(449곳)였다. 연봉제를 운영하는 사업장(1356곳) 가운데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비율은 500인 이상이 46.8%로 가장 높았고 300~500인은 40.6%, 100~300은 30.2%였다.
한편, 조사 사업장 가운데 13.5%(500곳)가 현재 임금 체계 개편을 계획 중이었고, 특히 이 가운데 절반(42.2%)는 성과연봉제 도입·확대를 검토 중이었다. 근속·연공급의 연공성 완화(33.6%)나 집단성과급, 각종 인센티브의 평가 차등(30.6%) 등도 논의했다. 개편 시기로는 “1년 이내” 33.8%(169곳)로 가장 많았고, 13.6%(68곳)는 “개편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서정 고용부 노사협력정책관은 “앞으로 성과연봉제 등 기업의 실정에 맞는 직무·성과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이 더욱 확산할 수 있도록 정부는 개편 우수사례 발굴·홍보 및 컨설팅, 임금정보 제공 등 현장의 임금 체계 개편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로 말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