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계약 기간 1년 이상인 국내 상용직 노동자가 지난 5월에 받은 평균 월급이 331만7천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일용직은 141만7천원이었다.
고용노동부는 상용 노동자 1인 이상인 국내 사업체 2만5천개를 표본 조사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이렇게 나왔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6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이뤄졌고 월급과 노동시간은 5월 기준이다. 상용직의 평균 월급은 작년 5월 316만9천원보다 4.7% 늘었고, 임시·일용직은 작년 132만5천원보다 6.9% 늘었다.
사업장 규모별로 나누면,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동자 평균 월급은 438만1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4.4% 늘었고 1~300인 사업장은 288만9천원으로 5.1% 늘었다.
노동자 월급이 가장 많은 업종은 금융 및 보험업(554만원)이었고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502만7천원),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31만6천원)이 뒤를 이었다. 월급이 가장 적은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172만2천원)이었다.
노동자들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163.7시간으로, 작년 5월 161.3시간보다 2.4시간 늘었다. 고용부는 “올해 5월 노동일 수가 19.9일로 작년 5월보다 0.4일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용직 노동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171.2시간으로, 작년 5월보다 2.9시간 늘었고 임시·일용직은 98.0시간으로, 작년보다 4.4시간 줄었다.
고용부의 사업체 노동력 조사는 농림어업, 가사서비스업, 국제·외국 기관을 제외한다. 자영업자와 무급 가족종사자까지 포함하는 통계청 경제활동조사보다 조사 범위가 좁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