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넥슨지회 누리집 갈무리
국내 게임업계에 첫 노동조합이 탄생했다. 마감을 앞두고 하루종일 일에만 몰두하는 상황을 뜻하는 ‘크런치모드’로 알려진 업계의 열악한 노동환경이 개선될지 관심이 모인다.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넥슨지회(지회장 배수찬)는 3일 “크런치모드를 워라벨모드로 바꿀 게임업계 제1호 노동조합을 세웁니다”라며 ‘넥슨노조(지회) 설립 선언문’을 공개하고 출범을 공식화했다. 넥슨노조는 넥슨코리아와 넥슨네트웍스, 네오플, 넥슨지티, 넥슨레드, 엔미디어플랫폼 등 넥슨 그룹의 자회사와 계열사들까지 가입 대상으로 한다.
지회장인 배수찬(33·
사진)씨를 비롯해 넥슨코리아 노동자위원인 남현수, 김태효씨 등이 위원으로 선출된 두 달 전부터 함께 노조 설립을 추진해왔다. 남씨는 부지회장, 김씨는 사무국장을 맡았다. 이들은 이날 설립선언문 공개 뒤부터 조합원 가입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해 낮 12시 기준 200명가량이 가입한 것으로 파악했다. 화섬노조 관계자는 “조합원 수가 시간이 갈수록 늘고 있다”고 말했다. 넥슨그룹의 직원은 모두 4천명가량이다.
배 지회장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게임업계 노동환경이 열악한 이유는 노동조합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했다.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었을 때 노조 만드는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겠다 판단했다. 앞서 지난 4월 설립된 네이버 노조가 화섬노조의 도움을 받은 것도 참고했다”고 말했다. 넥슨노조는 넥슨지회 외에 넥슨의 계열사인 네오플 소속 조합원들이 속한 네오플 분회도 조직했다.
배수찬(33) 민주노총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넥슨지회 지회장
이번 넥슨지회 설립이 다른 게임업체의 노조 설립으로 이어질지도 주목된다. 그동안 국내 주요 게임회사와 정보통신업계엔 노조가 많지 않았다. 국내 게임산업은 시장 규모 12조원대로 급성장했지만 정작 게임을 설계하고 만드는 업계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프로젝트 단위로 채용돼 상시적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야근수당 등 법정수당을 기본급과 구분하지 않는 포괄임금제로 인해 ‘공짜 야근’과 장시간 노동이 일상화돼 있다.
넥슨노조쪽은 설립 선언문에서 “포괄임금제 앞에서 야근과 주말 출근은 공짜였다. 회사의 매출은 매해 증가했지만 노동자의 값어치는 제 자리였고 성과에 따른 공정한 분배는 없었다. 정년퇴직은 상상조차 어렵다. 회사와 사회와 게이머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노동조합으로 자리 잡겠다”라고 밝혔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