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노동

사업체 절반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몰라요”

등록 2019-05-16 15:38수정 2019-05-16 15:48

고용부 사업체 5000곳 대상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인사 담당자 54.3%만 인지…3.3%만 제도활용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사업체 절반은 임신한 노동자가 임금 감소 없이 하루 두시간씩 일을 덜 할 수 있는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자체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도를 활용해 본 적 있는 사업체는 3.3%에 그쳐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용노동부는 2017년 기준 전국의 5인 이상 사업체 74만여곳 가운데 5000곳을 표본으로 뽑아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업들의 모성 보호 및 일·생활 균형제도 활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장 인지도가 떨어지는 제도는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 담당자의 54.3%만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근로기준법은 임신한 지 12주 안쪽이거나 36주를 넘긴 노동자가 청구하면 똑같은 임금을 받고 하루 두시간씩 출근을 늦게 하거나 퇴근을 일찍 하는 등 근로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낮은 인지도만큼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쓴 적 있는 사업체는 전체의 3.3%에 불과했다. 종업원 규모 30명 이상인 곳은 그나마 열에 한 곳(10.8%)이 제도를 써봤다고 답했으나, 그보다 작은 업체의 경우엔 2.4%에 머물렀다.

노동자가 만 8살 이하 자녀의 양육을 위해 회사를 쉴 수 있는 육아휴직 제도의 인지도도 57.1%로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활용도는 3.9%로 미미했다. 배우자 출산 때 남성 노동자가 3∼5일 출산휴가를 갈 수 있는 배우자 출산휴가의 인지도 72.4%, 활용도 4.1%에도 못 미쳤다. 여성 노동자가 출산을 앞뒤로 90일 동안 휴가를 쓰는 출산휴가 활용도가 7.7%인 점을 감안하면, 아이를 낳은 노동자의 절반가량만 육아휴직을 쓰고, 출산 노동자를 둔 배우자 가운데 절반가량만 배우자 출산휴가를 가는 셈이다.

육아휴직 제도를 활용하는 사업체가 휴직자 업무공백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절반 가까운 49.3%가 기존 인력으로 해결한다고 답했으나, 계약직 대체인력을 추가고용(30.7%)하거나 새 정규직 채용(10.6%), 일용직 인력 고용(9.4%) 등 새 인력을 채용한다는 응답도 과반(50.7%)에 이르렀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소속 없이 모인 청년들 ‘윤퇴청 시국선언’ 2000자 울림 1.

소속 없이 모인 청년들 ‘윤퇴청 시국선언’ 2000자 울림

“그냥 정우성 ‘아들’이다…‘혼외자’는 아이 아닌 부모 중심적 언어” 2.

“그냥 정우성 ‘아들’이다…‘혼외자’는 아이 아닌 부모 중심적 언어”

170만원 떼임…서러운 과일 도매 ‘1000원 떼기’ 장사 [.txt] 3.

170만원 떼임…서러운 과일 도매 ‘1000원 떼기’ 장사 [.txt]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4.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아픈 노동자 ‘돈 걱정 없이’ 갈 수 있는 병원…‘전태일 벽돌’ 칸칸이 5.

아픈 노동자 ‘돈 걱정 없이’ 갈 수 있는 병원…‘전태일 벽돌’ 칸칸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