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김명환 위원장(가운데)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승인을 위한 임시대의원대회 추진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백석근 사무총장, 김 위원장,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이 이달 넷째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노사정 잠정합의안에 대한 승인 여부를 묻고, 부결될 경우엔 자진 사퇴하겠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1일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협약이 민주노총 내부 갈등으로 불발된 뒤, 민주노총 위원장이 열흘만에 공개석상에서 향후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민주노총 규약 제19조에 따라 임시 대의원대회를 7월20일이 있는 주 중에 개최하고 방식은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표결에 앞서 하루 이상 안건을 충분히 설명하고 2∼3일에 걸쳐 질의·응답 과정을 갖겠다. 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한 토론까지 최장 8∼9일 동안 토의를 진행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은 세부 일정을 오는 13일 공지할 예정이다. 앞서 공공운수노조·금속노조 등 조합원 규모가 큰 산별노조 지도부는 노사정 잠정합의안에 대한 불만으로 대의원대회 개최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대의원대회 성사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전망도 나오지만, 민주노총 지도부는 온라인으로 치러지는만큼 정족수 충족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중앙집행위원회(중집) 위원 다수가 이번 잠정 합의안에 반대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위원장이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의견을 묻는 것이 민주노총 대의 체계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중집 논의 과정에서 일부 조합원들이 ’김명환은 자본의 하수인’이라는 푯말을 들고 나온데 대해서도, 그는 “일각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이번 최종안이 자본과 정권에 굴복한 항복문서인지,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에 요구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물인지, 판단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 위원장은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노사정 합의안이 최종 부결된다면 자신을 비롯해, 김경자 수석부위원장, 백석근 사무총장 등 민주노총 지도부가 즉각 사퇴할 것이라고 이날 밝혔다. 향후 거취와 연동해, 합의안 추인을 위한 배수진을 친 것이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민주노총은 사회적 교섭을 먼저 제안한 조직인만큼 이번에 책임감 있는 결정을 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대정부 교섭 틀 마련이 불가능할 수 있고 사회적·정치적 위상 하락, 가맹 조직들이 벌이는 노-정 협의에서도 협상력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이번 내부 갈등이) 민주노총이 사회를 바꾸고 제도와 법을 바꾸는 과정에서 경험을 축적하면서 겪는 성장통이라고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