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경수 신임 민주노총위원장 당선자(가운데)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촉구 단식 돌입 기자회견에서 민주노총 관계자들과 함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민주노총이 조합원 수로 제1노총 지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노동조합 조직률은 12.5%로 한해 전보다 소폭 올랐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2019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자료를 보면, 노동조합 조직률은 전년보다 0.7%포인트 오른 12.5%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 10.2%를 기록한 뒤 4년째 상승 추세이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 견줘서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2018년 기준 노조 조직률은 대만 32.9%, 영국 23.4% 일본 18% 등이었다.
지난해 전체 조합원 수는 253만1천명이었다. 상급단체별 조직현황을 보면, 민주노총은 104만5천명, 한국노총 101만8천명, 상급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노조원이 38만6천명이다. 민주노총의 지난해 조합원 수에는 당시 법외노조 상태였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빠져 있어, 이를 감안하면 한국노총과의 격차가 더 벌어진다. 민주노총의 조합원 수가 더 많지만, 전년비 증가율은 한국노총이 9.1%로 민주노총(8%)보다 높았다.
부문별 노조 조직률을 보면, 민간부문이 10%, 공공부문 70.5%, 공무원 86.2%, 교원 3.1% 등이었다. 조직 형태별로는 초기업 노조 소속 조합원이 147만3천명(58.2%)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명 이상 사업장이 54.8%로 가장 높았다. 이어 100~299명 8.9%, 30~99명 1.7%, 30명 미만 0.1%로 규모가 작을 수록 조직률이 낮았다. 이번 자료는 노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된 단위노조가 행정관청에 신고한 자료를 한국노동연구원이 집계한 결과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